의학회·수련병원협 등 정부에 "입대한 전공의 수련 재개 방안 마련" 건의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는 13일 내부 공지를 통해 "현재 복무 중인 사직 전공의들의 수련 연속성 보장이 가시화할 때까지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의료계에 따르면 대전협 비대위는 이날 내부 공지한 입장문에서 "입대한 사직 전공의들의 수련 연속성 보장을 위해 행동할 필요를 절실히 느꼈다"면서 이렇게 밝혔다.

비대위는 "정치권과 환자 단체 등 다양한 주체에 의무장교, 공중보건의사, 병역판정검사전담의사로 복무 중인 사직 전공의들의 수련 재개 필요성을 전달해왔다"며 "7일 열린 제3차 수련협의체 회의에서도 수련 연속성의 명확한 보장을 보건복지부에 강력히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비대위는 또 "군 복무 중인 사직 전공의의 수련 연속성 보장이 실질적 결과로 이어지도록 관계 부처들과 노력을 이어가겠다"며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공보의협)와 공조해 복무 중인 전공의들의 목소리를 반영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복지부에 따르면 3차 수련협의체 회의에서 대한의학회,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전협 등 의료계 측 참석자들은 올해 3월 사직 상태에서 입영해 현재 복무 중인 전공의가 2028년 전역 후 본인과 해당 병원이 원하면 사직 전 병원·과목·연차에서 수련을 이어가게 할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정부에 건의했다.
이들 단체는 회의 다음 날인 8일에도 복지부에 서면으로 재차 건의하면서 "군 복무에 따라 수련이 단절되면 전공의 개개인의 역량 강화와 전문의 양성에 차질이 빚어질 뿐만 아니라 국가 의료체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공보의협은 의정 갈등 중 입영해 복무 중인 군의관, 공보의, 병역판정검사전담의사 6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53명(42.0%)이 이른바 필수의료 과목 전공의였다며 "중증·응급 환자를 치료하려는 젊은 의사들의 의지가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요구와 관련해 복지부는 앞서 3차 수련협의체 후 "어렵지만, 지속해서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한 바 있다.
대전협은 오는 18일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비대위 재신임을 묻는 한편 현안 대응 방안에 관해서도 의견을 모을 계획이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