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헌규의 톡차이나] AI로봇 중국증시 기류 바꿨다, A주에 글로벌 자금이...

2025-08-19

2분기 이후 견조한 상승 기조 유지

10년만에 상하이지수 최고치 경신

중국 A주 시가총액 최초 2경원 돌파

부동산 대신 AI첨단 업종이 강세장 견인

개인 비중 줄고 기관 외자가 시장 주도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 증시가 2분기 이후 꾸준한 강세장을 연출하면서 글로벌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펑파이신문이 보도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8월 19일 오전 3733 포인트를 돌파하면서 2015년 8월 20일 이후 거의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선전지수와 창업판 지수도 2년만의 최고치를 경신했다.

특히 베이징 금융가의 베이징 증건거래소 50 지수는 지수 1500포인트를 돌파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4월초 3000포인트를 간신히 넘었던 상하이 지수는 4개월 여만에 3770포인트를 넘어섰고, 이제 4000포인트대를 향해 줄달음 치고 있다.

펑파이 신문과 증시 분석기관에 따르면 8월 18일 기준, 중국 본토 증시에 상장된 A주 시가총액은 중국 증시 사상 처음으로 100조 위안(2경원)을 돌파했다.

주식 열기가 고조되면서 상하이거래소와 선전거래소 두 시장의 18일 하루 총 거래량은 2조 7641억 위안으로 역대 세번째 많은 금액을 기록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2007년, 2015년 역사적 호황장과 비교해 중국 증시의 이번 상승랠리가 제도와 성장, 밸류에이션(저평가)에 의해 뒷바침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중국증시 특성으로 볼때 2007년엔 외국인 자금이 5%이하에 머물렀고, 2015년엔 개인과 융자자금 비중이 시장의 60%를 차지했으나 지금은 외자와 양로금(연기금) 보험 자금 등이 시장의 주도 세력을 부상했다.

또한 2007년 중국의 폭등 증시를 금융과 부동산이 주도했다면 2025년 현재 중국 증시 의 주도 산업은 반도체와 신에너지 AI 검퓨팅 제약 소비 등 첨단 과기 제조 분야로 완전히 모습을 바꿨다.

밸류에이션과 수익 측면에서 상하이 선전증시 중대형주 CSI 300의 주가수익비율(PER)이 약 12.5배에 불과해 2007년 26배, 2015년 16.5배에 비해 현저히 낮은 상황이다. 비금융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8.2%로 상승했다.

펑파이 신문은 이와함께 배당금 환매, 정기적인 상장 폐지, 장기 자금 유입 등 제도 개선이 A주 생태계의 성숙도를 높였다고 진단했다.

이와함께 중국 A주 시장의 핵심 동력중 하나인 신용 거래도 최근 계속해서 활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5년 8월 11일, 신용 거래 잔액은 10년 만에 2조 위안을 돌파했다.

중국 안팎의 전문가들은 중국 경제 펀더멘털이 완만하게 회복됨에 따라 A주 증시가 저속 강세장을 보일 것이며 이런 전망은 글로벌 시장에서 위안화 자산의 재평가로 이어질것이라고 예측한다.

중국 경제의 회복 탄력성이 충분하고 자본 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가계 저축 자금이 지속적으로 주식 시장에 유입되고, 외국인 투자자들이 A주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상승장이 중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펑파이 신문은 전문기관을 인용, 3770 포인트대를 돌파한 상하이 종합지수가 올해안에 4000포인트로 다가설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