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을사년 새해가 밝았다. 2024년 중국은 정부를 주축으로 한 대대적인 경기 부양책과 신품질 생산력(新质生产力) 발전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2025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산업망 조정이 지속되고, AI 혁명이 실질적인 응용 단계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중신증권(中信证券, CITIC)은 스마트(智能), 안보(安全), 신품질(新质), 구조조정(整合)을 새해를 대표하는 4개 핵심 키워드로 꼽았다. 중신증권 리포트를 바탕으로 2025년 중국 산업 트렌드를 상, 하 2편으로 나누어 들여다본다.
https://www.joongang.co.kr/series/11008
⑥ 저공경제, 정책적 지원 바탕 성장
2024년 이후 각 지방정부는 정책, 자금, 산업 등 측면에서 저공경제를 연구하고 관련 지원 정책을 발표했다. 2025년에도 저공경제 산업은 정책적 지원과 인프라 입찰을 중심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저공 경제(低空經濟): 민간의 유인/무인 항공기를 활용해 여객/화물 수송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저공 비행 산업을 가리킨다. 드론택시, 드론택배,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등 개념을 예로 들 수 있다.
향후 국가 저공산업 기금이 조성되고 국가 저공경제 산업 종합 시범구가 설립될 예정이다. 지난 2024년 국제전기항공(쿤산)포럼에서 중국항공운수협회(航空运输协会) 관계자가 발표한 6대 도시 eVTOL(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 시범 프로젝트를 주목할 만하다.
⑦ 이성 소비 경향, ‘품질 우선주의’ 부상
2024년에는 소비가 전반적으로 둔화되고 체험형 소비가 지속 성장하는 한편, 고급 소비 열풍은 서서히 식는 추이를 보였다. 2025년의 경우, 정책적 효과와 경기 전환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장기적으로, 중국 소비의 전반적인 확대 추이는 변하지 않을 것이지만, 수요는 구조적인 변화가 여실히 나타날 전망이다. 현재 중국 소비자들은 점차 성숙하고 이성적인 소비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제한적인 예산을 가지고 고품질의 가치 있는 제품, 정서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브랜드와 제품에 소비하는 추세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성 소비 열풍에 따라 ‘품질 업그레이드’와 ‘저렴이 대체 현상’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 그러면서도 젊은 세대들은 일상에서 즐거움을 추구하며, 정신적인 만족감을 위해 선뜻 지갑을 연다. 이에 따라 ‘굿즈 경제’로 대변되는 IP 파생상품 소비와 궈차오(国潮 애국 소비) 열풍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⑧ 신에너지 저점 찍고 반등
지난 몇 년 사이, 태양광, 에너지 저장, 리튬배터리, 풍력 발전을 필두로 하는 신에너지 산업은 증산으로 인한 산업망 가격 하락을 겪었다. 수요 증가율이 다소 둔화되면서 생산과잉이 산업 발전을 가로막는 최대 골칫거리가 된 것이다. 그러나 2년의 조정을 거치며 2025년에는 일부 세부 업종이 저점에서 회복세를 보일 전망이다.
풍력발전의 경우, 2025년 발전기와 부품 주기가 바닥을 찍고 반등할 전망이다. 태양광은 빠르면 2025년 하반기 이전 공급측이 서서히 재구축되면서 산업망 가격과 수익이 안정되고, 주요 업체들은 기술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할 전망이다.
⑨ 의료헬스케어 산업 뉴트렌드 부각
2024년 연말부터 의료 업종은 지난 2023년 3분기 시작된 ‘의료 반부패’의 풍파에서 점차 빠져나오기 시작했으며, 의료헬스케어 산업 섹터 밸류에이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집중 입찰 구매의 영향은 이미 거의 사라졌다는 분석이다.
앞으로는 우수한 제품력과 혁신력이 우수 회사와 실적 성장의 핵심이 될 것이며, 2025년은 의약 업종과 주요 핵심 기업에 투자하기 최적의 시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⑩ M&A 구조조정 통한 새로운 기회 창출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과 산업의 고품질 발전을 추구하는 가운데, M&A 구조조정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전망이다. 이번 구조조정은 단기적인 테마 투자가 아니라, 지속가능한 산업 트렌드로서 두 가지 방면의 기회가 있다고 중신증권은 지적했다.
첫째, 산업망 통합과 규모 확대 및 강화를 추구하는 산업 내부의 M&A 구조조정은 전자, 의료기기, 자동차 부품 등 분야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둘째, 신품질 생산력과 산업 업그레이드를 지향하는 크로스오버 산업의 경우, 이미 지배주주 변경이 고시된 기업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홍성현 차이나랩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