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회생계획안 또 연기…“다섯 번째 시한 연장, 청산 우려 커져”

2025-11-09

홈플러스가 기업 회생 절차 중 회생계획안 제출 시한을 또다시 연기했다. 인수 의향자를 찾지 못한 탓에 벌써 다섯 번째 연장이다. 유통업계에서는 “더는 시간을 끌기 어렵다”며 청산이나 점포별 매각 등 현실적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유통업계와 법조계에 따르면, 법원은 지난 6일 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기존 10일에서 내달 29일로 연장했다. 지난 6월 3일이 첫 제출 시한이었던 만큼, 이번이 다섯 번째 연장이다.

홈플러스가 계속해서 회생계획안 제출을 미루는 이유는 적절한 인수자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최근 공개 매각 절차에서 매수 의향을 드러낸 곳은 두 곳뿐인데, 모두 영세한 인공지능(AI) 업체로, 대형 유통사를 인수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정치권에서 구원투수로 거론된 농협도 인수에 참여하지 않기로 하면서, 회생 추진 동력은 더욱 약화됐다. 현재 홈플러스는 오는 26일 입찰 마감 전까지 인수·합병(M&A)을 추진하며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자를 찾고 있다.

유통업계 안팎에서는 회생 절차가 장기화되는 데 따른 회의론이 커지고 있다. 한 대형 유통사 관계자는 “새 인수자가 나타날 가능성이 낮은 상황에서 시한만 연장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청산이나 점포별 매각 등 실질적 대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오프라인 유통 부문의 침체로 홈플러스 인수를 부담스럽게 여기는 기업이 많다는 점도 변수다. 유통업계는 홈플러스가 청산될 경우 납품업체, 물류 협력사 등으로 여파가 광범위하게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한다.

반면 정치권과 노동계는 고용 충격 최소화를 이유로 회생 절차 유지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홈플러스가 청산될 경우 약 10만 명에 달하는 고용이 위태로워지고, 전국 점포 폐점으로 인한 지역 경제 타격도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정치권에서는 농협을 비롯한 공공기관이 회생 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홈플러스 회생은 단순히 한 기업의 생존 문제가 아니라 국내 유통 생태계와 지역 일자리의 문제”라며 “정치권이 보다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