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칼럼] 인문사회 융합인재 양성, 백년지대계로 접근해야

2024-09-25

한국사회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경제활동인구 감소와 노동시장의 구조변화, 수도권 집중에 따른 지방소멸, 기후변화 등 복합적 난제에 직면해있다. 모두 단일 기술이나 학문으로는 해결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들이다. 해법 마련에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아우르는 종합적이고 유기적인 접근이 필요한 이유다.

대학은 오랜 기간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하는 사명을 견지해 왔다. 하지만 현재의 대학은 학문 분야별 개별학과의 분절적 교육과정으로 인해 복합적이고 어려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인재양성에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사회가 변함에 따라 대학의 역할과 기능도 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많은 대학에서 학제간 융합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과학기술과 인문·사회분야의 융합, 인문·사회분야 간의 융합적 교육과정 등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최근의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통찰력을 갖춘 인재 양성이 절실하다는 공감대 확산이 배경이다.

성균관대는 지난해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인문사회 융합인재 양성사업(HUSS)의 ‘인구구조 컨소시엄’ 주관대학으로 선정된 바 있다. 올해는 인구구조 컨소시엄 소속 대학뿐만 아니라 글로벌·문화, 환경 컨소시엄 대학들과도 마이크로 디그리(MD) 과정을 개설해 공동 운영 중이다.

인구구조 컨소시엄에서는 인문사회 분야 학생들이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사회문제 해결을 모색하고 관련 분야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운영뿐만 아니라 40여개 공공기관 임직원과 학생들 간의 멘토링제도, 창업진흥원을 통한 청년창업 실무지원 등 진로와 취업, 창업 연계까지 지원하고 있다. 컨소시엄 참여 학생들은 물론 관련 기업, 공공기관, 지자체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순항 중이다.

하지만 인문사회 융합인재 양성사업이 안착하고 계속해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재정 및 연구개발 분야에 대한 연속성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현재 3년 사업주기로는 융합 교육과정을 이수한 졸업생이 배출되기도 전에 사업이 종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럴 경우 기존 인프라 투자의 비효율성과 대학행정의 신뢰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다. 인문사회 융합인재 양성사업은 우리가 직면한 복잡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야심차게 도입한 정책 브랜드이다. 최소 십년지대계의 신중함과 중장기적인 지원을 통해 인문사회 융합인재 양성사업이 대학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확립하는 출발임과 동시에 국가 난제 극복을 위한 인재 배출의 요람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유지범 성균관대 총장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