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등학교 법정수업일수 질문에 "정확히 모르겠다"
교육행정 정보 연계 처리 시스템 물음에 한동안 답 못해
참여연대 사퇴 촉구..."연구 윤리 위반, 치명적 결격사유"
[미디어펜=이희연 기자]'제자 논문 표절' 의혹으로 논란의 중심에 선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이 후보자가 교육 용어나 현안에 대한 질문에 제대로 답하지 못하면서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후보자는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이 "초·중·고등학교 법정수업일수가 며칠인지 아시나"라고 묻자 "정확히 모르겠다"고 답했다. 초·중·고등학교 법정수업일수는 190일이다.
이어 정 의원이 "전국 1만여 학교에서 교육행정정보를 연계해서 처리하는 시스템이 뭔지 알고 있냐"는 질문에는 한동안 답을 하지 못했다. 정 의원이 "나이스(NEIS)"라고 하자 뒤늦게 "나이스, 나이스입니다"라고 답했다.

아울러 "유보통합을 주관하는 주체는 어디냐"는 추가 질문에 "교육청에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정 의원은 "교육청이 아니라 교육부가 실행한다"며 "모르면 모른다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자는 유·초·중등교육에 대해 전문성 부족하다는 지적에 "사범계열 건축공학교육과 출신으로 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며 교직 이수를 했고 교생실습을 했다"며 "수십 년간 중등교원들에 대한 연수를 늘 담당하며 현장의 선생님들과 소통을 많이 하는 등 관심을 늘 가졌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강조했다.
또 이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에서 논문 표절 논란과 관련해 김영호 교육위원장이 "항의성 불만을 갖고 있는 제자가 단 한 명이라도 있느냐"는 질문에 "많이 있다"라고 잘못 답변해 청문회장을 웃음바다로 만들기도 했다.
이 후보자는 이내 "불만이 아니라 제가 착각했다"며 "저한테 그런 불만을 얘기한 제자는 없었다"고 손사래를 쳤다.
한편 시민단체 참여연대는 이날 논평을 통해 "이 후보자의 제자 논문 표절 의혹에 따른 연구 윤리 위반과 자녀 조기유학에서 초·중등교육법 위반은 교육부 수장으로서 치명적인 결격사유"라며 "교육의 공정성과 법적 기준을 스스로 훼손한 인물이 교육 정책을 총괄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사퇴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