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산 전시회서 '국산화·규제혁신·상생' 강조
AI 방산 기술 산불 대응 활용도 검토 지시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서울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ADEX 2025'에서 방산업체의 현장 건의를 직접 인용해 즉각 추진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국산화 확대, 규제혁신, 중소기업·스타트업과의 상생을 강조하고, 첨단 방산 기술의 산불 진화 등 재난 대응 활용 방안 검토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ADEX 2025 개막식 및 방위산업 발전 토론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고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개막식 이후 방산업체 전시 부스를 순회하며 제품의 국산화율, 가격 경쟁력, 해외 경쟁사 비교 등을 꼼꼼히 질의했다. 한 업체가 "해외 구매처는 '당신 나라에선 이 제품을 얼마나 쓰느냐'고 묻는다"며 국내 군의 중소기업·스타트업 제품 도입 확대를 요청하자, 이 대통령은 이어진 토론회에서 이 의견을 그대로 인용해 발언을 하면서 현장 건의를 즉각 수용했다.

이 대통령은 AI(인공지능) 감시정찰 장비 설명을 받는 자리에서는 "첨단 방산 기술을 산불 예방·발견·진압 등 재난 대응에도 활용 가능한지 검토하라"고 관계 부처에 지시했다. 방산 기술의 민간 재난 대응 활용 가능성을 강조한 것이다.
토론회에서는 중소기업·스타트업의 소통창구 부재와 제도 혁신 필요성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참석자들은 민관군 워크숍과 맞춤형 설명회 신설, 신속 시범사업 예산·인력 확대를 요청했으며, 이 대통령은 관계 부처에 적극 검토를 지시했다.
또 한 참석자가 "국내 전력체계 상당수가 해외 반도체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자 이 대통령은 "이미 관계 부처에 대책 수립을 지시했다"며 국산 반도체와 소부장 사용 촉진을 위한 인센티브 체계 도입을 언급했다.
규제와 제도 합리화와 관련해, 일부 참석자가 "군이 새로운 무기 체계는 도입을 꺼린다"고 지적하자 이 대통령은 "필요한 규제를 찾아내 해소하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국방부 장관에게 "공격무기와 방어무기를 정기적으로 모의전투 형식으로 성능 점검하는 대결을 기획하라"고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대기업·중소기업·스타트업의 상생 생태계 구축이 방산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공정거래위원회 인력 확충을 통해 원가 후려치기 등 지배적 지위 남용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정부가 세금을 투입해 민간이 감당하기 어려운 부분을 지원하는 만큼, 방산 기업은 그에 상응해 국내 생태계 살리기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방산 기술의 산불 진화 분야 적용을 거듭 언급하며 "정밀 타격 기술을 응용하면 산불 진화 효율도 높일 수 있다"며 기업의 기술 개발을 독려했다.
이날 일정을 마친 뒤 이 대통령은 일산시장을 방문해 오소리 국밥으로 오찬을 하고, 상인과 시민들을 만나 악수하며 대화를 나눴다. 인근 떡집에서는 꿀떡과 인절미를 직접 구매하기도 했다.
park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