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몸무게가 적게 나가는 여성은 갱년기 초기에 여성호르몬 분비와 유방 밀도에 변화가 나타나기 쉬운데, 이 점 때문에 유방암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마른 체형이 유방암 발병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강북삼성병원 헬스케어데이터센터 류승호 교수, 코호트연구센터 장유수 교수와 장윤영 박사,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조유선 교수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국내 갱년기 여성의 유방암 발병 위험 요인을 분석한 연구를 국제학술지 ‘유방암 연구(Breast Cancer Research)’에 게재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진은 월경이 불규칙해지거나 중단되기 시작한 갱년기 여성 4737명을 평균 7년간 추적 관찰하며 이 기간 동안의 여성호르몬 및 유방 밀도 변화를 확인했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여성은 서구 여성보다 젊은 40대 후반 무렵에 유방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유방암은 여성호르몬 분비가 늘어나거나 유방 밀도가 높을수록 발병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갱년기를 전후한 국내 여성들이 체질량지수에 따라 유방암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요인에 변화가 생기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체질량지수가 낮은 저체중 여성은 갱년기 초기에 여성호르몬 중 에스트라디올과 유방 조직 밀도가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비만 여성은 에스트라디올이 감소하고 유방 밀도도 낮아져 대조적이었다. 갱년기가 지나가면서 에스트라디올과 유방 밀도 모두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저체중 여성은 갱년기 초기 일시적으로 이들 모두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연구진은 저체중 여성의 갱년기 초기에 나타난 이런 특징적 변화가 한국 여성들의 유방암 발병이 비교적 이른 연령대에 집중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고 밝혔다. 류승호 교수는 “한국 여성은 서구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마른 체형이 많은 편인데, 이러한 체형적 특성이 갱년기 초기 호르몬 변화와 맞물리면서 서양 여성보다 빠른 시기에 유방암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됐을 것이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장유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향후 폐경 전후 여성의 체형 및 호르몬 변화에 따른 맞춤형 검진 및 예방 전략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CJK 2025년 11월호 [퍼스널케어] Givaudan Active Beauty, ‘피부 장수 디코딩’ 통해 노화와 화장품 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https://www.cosinkorea.com/data/photos/20251147/art_17635460014866_cb5d46.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