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프랑수아 필립 샴페인 캐나다 재무장관은 주요 7개국(G7)이 중국의 과잉생산과 중국산 저가 공세에 대한 관세 대응 논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21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샴페인 재무장관은 이날 캐나다 앨버타에서 이틀간 열리는 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와 관련해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
그는 중국의 과잉공급을 지적하며 이번 회의 주제에는 과잉생산과 비시장적 관행(저가공세)에 어떻게 공동의 보조를 맞추고 대응할 것인지가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미국은 중국의 전자상거래업체 테무와 쉬인 등을 통해 들어오는 중국산 소액 직구 물품에 관세와 수수료를 매기기 시작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5월 2일부터 중국 본토와 홍콩에서 들어오는 800달러(약 116만 원) 이하 소액 소포에 120%의 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했다가 관세 협상 후 54%로 세율을 낮췄다. 그러나 소포 당 수수료 100달러는 그대로 유지했다.
유럽연합(EU)도 중국에서 유럽의 가정으로 직접 배송되는 소액 소포에 2유로(3140원)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150유로(23만원) 이하 소액 소포에 사실상 수입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다.
☞ EU도 테무·쉬인 직구 배송품에 2유로 수수료 부과 예정
한편 샴페인 장관은 "이번 회의의 큰 주제는 기본으로 회귀"라며 "경제 성장 회복과 안정에 초점을 맞추되, 과잉 생산 능력과 비시장적 관행, 금융범죄 등에 대한 논의도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방과 적성국을 가리지 않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공세 역시 G7 내부의 불편한 이슈로 다뤄질 것이라고 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관세 정책이 무역 상대국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G7 내부 논의와 함께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의 양자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이런 문제를 둘러싼 긴장은 상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osy7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