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제안이 정책이 된다…AI 정책 토론회 성황

2025-11-07

기획재정부가 국민이 직접 제안한 정책 아이디어를 토론을 통해 발전시키는 자리를 마련했다. 정부는 이번 논의 결과를 토대로 ‘AI(인공지능) 대전환’ 등 핵심 국정과제에 국민의 창의적 제안을 적극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기재부는 7일 “국민이 참여한 ‘2025 미래한국 아이디어 공모전’의 우수작 선정을 위한 AI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지난 9월 1일부터 진행된 공모전의 결선 과정으로, 정책 제안의 실효성과 선정 절차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됐다.

이번 공모전에는 총 350여 건의 제안이 접수됐으며, 1차 심사를 통과한 주요 제안들이 토론회에서 발표됐다. 제안자들은 자신이 구상한 정책 아이디어를 직접 설명하고,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과 다른 참가자들과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받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강기룡 기재부 신임 차관보는 “AI 대전환'은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다”며 “토론회에서 논의된 제안들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심사위원단은 제안자들과 함께 제안의 정책 실현 가능성과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토론을 벌이기도 했다.

기재부는 토론회를 통해 나온 다양한 의견을 향후 정책 개발 과정에 반영할 계획이다. 수상작은 이후 2차 심사와 대국민 온라인 투표 등을 거쳐 최종 선정된다. 시상 규모는 대상 1건(500만 원), 최우수상 1건(300만 원), 우수상 2건(각 200만 원), 입선 4건(각 100만 원) 등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번 토론회는 정부가 국민과 함께 정책을 설계하고 실현하는 새로운 거버넌스의 출발점”이라며 “특히 AI, 기후·인구·재정 등 미래 핵심 의제에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 과정에 직접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