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챗GPT 활용 부정행위 6년간 4건…모두 'F 학점'

2025-11-24

강경숙 의원, 교육부로부터 관련 자료 확보

전체 부정행위 224건…전자기기 등 활용 총 42건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최근 6년간 대학 학사 시험 과정에서 적발된 부정행위 5건 중 1건은 인터넷과 전자기기 등을 무단으로 활용한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체 부정행위 중 4건은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사용한 사례로, 모두 F 학점 처리됐다.

24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6년간(2020년~2025년 11월) 대학 학부 시험 과정에서 부정행위가 있었던 49개교에서는 총 224건의 부정행위가 적발됐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중복을 포함해 문제 및 답안 공유가 65건으로 가장 많았다. 부정하거나 허가받지 않은 자료를 활용한 사례는 48건, 커닝은 41건이었다.

이밖에도 ▲대리 응시 ▲표절 ▲응시자 간 대화 등이 다수 적발됐다. 부정행위를 한 학생들은 윤리 교육 및 사회봉사, 근신, 정학, 성적 변경 등의 처분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챗GPT를 사용하거나 스마트폰, 전자기기, 인터넷 등을 활용한 사례는 총 42건으로 전체의 18.8%를 차지했다.

챗GPT를 활용하다 적발된 사례는 총 4건으로 가톨릭꽃동네대, 부산대, 제주대, 조선대에서 발생했다. 이들 대학은 챗GPT를 사용한 학생에 대해 모두 F 학점 처리한 것으로 파악됐다.

jane94@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