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지역간 격차 탓 사회 분열…'메가시티'로 간극 줄여야"

2025-04-22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22일 “우리 사회의 분열이 겉으로는 정치적인 갈등으로 나타나지만 한발 들어가 보면 경제적 불평등과 지역 간 격차가 밑바탕에 있다”며 “이 문제를 건드리지 않고서는 지금의 대결적 갈등 구조를 해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이날 서울 영등포에 마련된 선거캠프에서 진행한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경제적 불평등을 풀 해법으로 ‘지역 격차 해소’를 꼽은 뒤 “갈등의 뿌리가 해소돼 국민들에게도 여유가 생기면 아무리 정치인들끼리 싸우더라도 지금처럼 진영 간에 치열하게 대립하는 구조는 안 생긴다”고 설명했다. 자신의 ‘5대 메가시티’ 공약이 단순한 지역균형발전의 차원이 아니라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과제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5대 메가시티를 전면에 내세웠다.

△균형발전은 대한민국 경제성장과 미래를 위해 중앙정부와 국회·지방정부가 함께 풀어야 할 국가적 과제다. 예를 들어 대학 교육만 해도 지방정부가 자기들이 발전할 방향을 설정한 뒤 그것에 맞는 전공을 몇몇 대학을 중심으로 집중 투자해 ‘톱’이 되게 해줘야 한다. 기업은 인재가 많은 곳을 찾아가지 않느냐. 인공지능(AI)을 공부하려면 광주, 영화 산업 및 정책금융 인재는 부산에서 집중 육성하면 전국에 서울대가 10개 만들어지는 효과가 생긴다. 자연스럽게 대학 서열화도 해소되고 갈등의 뿌리도 해소될 수 있다.

-사회적 갈등이 심각한 데는 정치의 부재가 크다.

△정치라는 게 기본적으로 이해관계 조정과 갈등 중재를 통해 타협하고 합의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를 종합적으로 바라봐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경험이 대단히 중요하다. 정치 선진국을 보면 오랫동안 정치 경험을 쌓으면서 평소에 갈등을 조정하는 능력을 충분히 단련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느냐. 그러면서 민주주의의 기본적인 철학이 생기고 사회적 대화나 경청 기술이 생긴다. 이것이 정치의 기본 과정인데 경험이 있고 없고의 차이가 크다.

-정책 공약의 키워드를 ‘경제’로 잡았다.

△1997년 외환위기에 버금가는 사상 초유의 위기다. 통계만 봐도 자영업자들이 한 해 90만 명 이상 폐업을 하고 있고 경제성장률도 2%에 못 미친다. 문재인 정부에서 이러한 경제적 전환기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판 뉴딜’을 통해 미래 먹거리에 대한 투자를 진행하려 했지만 윤석열 정부에서 동력이 이어지지 못했다. 2%대 밑으로 떨어진 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재정을 확대하고 국가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봤다. 새로운 성장 방식과 새로운 성장 축을 통해 경제위기를 넘어 대한민국이 도약할 방안을 제시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다들 AI를 강조하는데 차별점은 무엇인가.

△AI 산업 투자를 생태계 조성 관점에서 바라본다는 점이다. 정부가 직접 AI 기업을 설립하는 게 아니라 민간이 투자하기 어려운 인프라 구축을 통해 다양한 산업에서 AI를 활용해 혁신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후보의 공약이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 장 구입과 같이 공급자 중심이라면 우리는 수요자에 초점을 두고 있다. 기업이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 장벽을 낮추는 일, 비용을 줄이는 일을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 이렇게 수요자를 키우고 발굴하고 육성해서 AI 생태계를 완성하는 게 가장 큰 차별점이다.

-순회 경선 현장에서 달갑지 않은 구호들도 많았는데.

△영남권 경선에서는 연설을 통해 저의 얘기를 풀었다. 영남에서 정치하며 느낀 어려움, 고통을 자연스럽게 담았다. 이를 통해 당원과 공감대를 만들었던 것 같다. 연설이라는 게 정치인이 사람들과 소통하는 하나의 통로 아니냐.

무엇보다 내가 전달하고 싶은 진심이 무엇인지를 담으려 했다. 그래서 메가시티나 균형발전 문제, 지역의 어려움 등 (청중들이) 피부에 와닿을 수 있는 부분들이 담기면서 공감대를 얻은 것 같다.

■ 김경수 예비후보는=경남 고성에서 태어나 진주 동명고와 서울대 인류학과를 졸업했다. 국회 보좌진 생활을 이어가다 2002년 대선 후보 캠프에 합류하면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과 인연을 맺는다. 노 전 대통령 퇴임 이후 봉하마을에서 '마지막 비서관'으로 남았다. 두 번의 낙선(의원·지사) 끝에 20대 총선에서 의회에 입성했고 2018년 민주당 최초로 경남지사에 당선됐다. 2021년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유죄가 확정돼 지사직을 잃었지만 지난해 특별사면을 통해 복권됐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