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美 비자 파동에 인력 조정 불가피…200조 투자 차질 우려

2025-09-14

LG엔솔·현대차 조지아 공장 최소 3개월 지연 전망

배터리·반도체·조선 업계, 멕시코·캐나다 대체 거점도 검토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미국 조지아주 공장에서 한국인 근로자 300여 명이 체포된 사태 이후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 주요 기업들은 긴급히 인력 재조정을 추진하는 한편, 비자 문제 장기화 시 200조 원이 넘는 대미 투자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현재 가동 중인 미국 내 공장에서 일부 엔지니어를 현대차그룹과 합작으로 건설 중인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HL-GA JV)에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번 사태로 현장 전문 인력이 빠져나간 공백을 메우기 위한 조치다. 업계는 제너럴모터스(GM)와의 합작 공장보다는 단독 운영 중인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인력 조정이 이뤄질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HL-GA 합작 공장은 약 63억 달러(8조8000억 원)가 투입된 프로젝트다. 주요 인력이 철수하면서 공사 기간은 최소 2~3개월 이상 지연될 것으로 관측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조지아 외에도 애리조나주 퀸크릭, 미시간주 랜싱, 오하이오주 파예트카운티 등에서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삼성SDI는 인디애나주에서 스텔란티스, GM과 합작 공장을 짓고 있으며, SK온도 조지아·켄터키·테네시 등지에서 생산 거점을 확대하고 있다.

반도체 업계 역시 예의주시 중이다.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370억 달러(52조6000억 원) 규모의 차세대 파운드리 공장을 건설 중이고,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에 38억7000만 달러(5조4000억 원)를 투입해 인공지능(AI) 메모리 패키징 공장을 준비하고 있다. 한화그룹은 필라델피아 조선소에 50억 달러(7조 원)를 추가 투자하기로 하는 등 업종을 막론하고 미국 내 투자 규모는 200조 원을 웃돈다.

이번 사태의 직접 원인으로 지목된 비자 문제는 업계 최대 변수다. 일부 기업은 멕시코·캐나다 등 대체 거점을 타진하거나 미국 내 법인 설립, 현지 파트너십 강화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도 대응에 나섰다. 구체적으로는 한·미 간 워킹그룹을 가동해 취업 비자 쿼터 확대 등 구체적 해법을 논의할 계획이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근본적 제도 개편에는 시간이 필요하지만 조속히 논의가 진행돼야 한다"며 "기업들이 불신 없이 안전하게 투자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kji01@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