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로병사의 비밀’ 치매에도 ‘골든타임’이 있다! ‘경도인지장애’는 무엇?

2025-05-14

14일 오후 10시 KBS1 ‘생로병사의 비밀’ 951회는 ‘깜빡깜빡 적신호! 기억력 감퇴를 잡아라-치매에도 ‘골든타임’이 있다!···경도인지장애’는 무엇?’이 방송된다.

나이가 들수록 일상을 침범해 오는 ‘깜빡깜빡’ 증세. 별일 아닌 듯 넘기려고 해도 어느 순간 불편함을 느끼고, 가족에게 걱정을 안기기도 하며, 불안은 점점 두려움으로 번져간다. 이건 단순한 건망증일까? 자연스러운 노화의 일부일까? 혹시, 치매로 향하는 경고등은 아닐까?

초고령 사회 돌입을 눈앞에 둔 지금, 기억력 감퇴는 더는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대한민국 중장년층이 직면한 기억력, 인지능력 저하의 실태와 그 경고등 ‘경도인지장애’의 실체까지! 기억을 지키는 첫걸음, ‘생로병사의 비밀’에서 함께 시작해보자.

■ 자꾸만 깜빡깜빡, 내 기억력에 무슨 일이 생긴 걸까?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어느덧 17.6%를 차지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인구. 노화와 함께 자연스럽게 찾아오는 기억력·인지 기능 저하로 불편을 겪는 인구 또한 증가하는 추세다. 단어가 잘 떠오르지 않는다거나, 며칠 전 잡은 약속을 까맣게 잊는 것. 처음엔 대수롭지 않게 넘기지만, 점차 일상을 침범하며 불안감을 키운다.

제작진이 만난 58년생 변봉섭 씨는 퇴직 후 갑작스럽게 찾아온 기억력 감퇴로 40년 동안 이어온 운동 동호회의 중요한 행사를 잊어버리는가 하면, 전업주부 이인화 씨는 평생 해오던 요리가 서툴러져 자신뿐 아니라 주변의 걱정까지 키우고 있다. 혹시 치매로 가는 경고등은 아닐까 불안하다.

■ 건망증도, 치매도 아니라면, ‘F067, 경도인지장애’

세 사례자가 공통적으로 겪는 불편은 전형적인 치매 증상이라기엔 가볍고, 단순한 건망증으로 보기도 어렵다. 병원을 찾은 이들에게 내려진 진단은 의학적으로 F067이라는 질병 코드가 부여된 ‘경도인지장애’였다.

경도인지장애는 인지 기능은 분명 저하되어 있지만, 아직 일상생활은 가능한 상태다. 말 그대로 정상과 치매 사이에 놓인 경계선인 셈. 보건복지부 실태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약 4명 중 1명이 이 단계를 겪고 있으며, 고령화가 심화됨에 따라 2030년에는 368만 명, 2040년에는 512만 명에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문제는 이 단계가 치매로 이어지기 전 ‘골든타임’이라는 데에 있다. 그럼에도 대부분 경도인지장애라는 개념을 알지 못한 채 불편을 견디거나 스스로를 탓한다. ‘검사 결과는 정상이지만, 뭔가 이상하다’, ‘예전 일은 기억나는데, 최근 일은 자꾸 흐릿해진다’는 느낌이 들었다면, 이미 뇌는 위험 신호를 보내고 있는 것일지 모른다.

‘생로병사의 비밀’에서는 세 사례자의 일상을 통해, 기억 저하의 징후와 경고 신호를 짚어본다. 이른 진단과 적극적인 개입이 절실한 상황에서, 다행인 점은 이 시기에는 노력을 통해 저하의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것! 기억력을 지키고 싶다면, 지금 이 순간부터 변화를 시작해야 한다.

‘유전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결합해서 병을 유발하는데 환경적인 요인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병이 생길 수도, 안 생길 수도 있어요. 결국 내가 몇십 년에 걸쳐서 어떤 삶을 살았느냐가 내가 병에 걸릴 사람인지 걸리지 않을 사람인지 결정하는 겁니다” (정세희 교수)

■ 인지 기능을 변화시킬 기적의 프로젝트

-3주간의 뇌기능 개선 실천

제작진은 세 명의 사례자와 함께 ‘3주간의 인지 기능 개선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신체검사와 인지 기능 검사를 바탕으로, 맞춤형 운동 처방과 인지 훈련, 식단 조절을 통해 뇌 건강을 개선해보기로 한 것. 특히 근력은 노년기의 일상 유지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러닝’의 효과를 전파하는 정세희 교수의 지도 아래 심폐 지구력 향상을 위한 특별한 운동이 처방됐다. 작고 일상적인 변화들이 모여, 뇌와 마음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까?

그리고 단 3주, 짧은 시간 동안 놀라운 변화가 일어났다. 인지 기능 점수가 향상되는 것은 물론, ‘기억을 잃으면 삶의 의미가 없다’고 말하던 사례자가 ‘열심히 살아보겠다’는 말을 꺼내기까지. 이들에겐 어떤 변화가 찾아왔을까?

■ 당신의 기억, 지킬 수 있습니다

기억력 감퇴의 속도를 늦추는 것은 가능하다. 이를 위해선 지금, 이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을 무심히 넘기지 말고, 원인을 파악하고 생활 습관을 점검하며, 실천 가능한 변화를 시작해야 한다.

3주간의 인지 기능 개선 프로젝트로 성과를 낸 사례자들처럼, 당신도 할 수 있다. 경도인지장애는 되돌릴 수 있는 가능성의 시기다. 지금의 실천이 미래의 기억을 지킨다.

2025년 5월 14일 수요일 밤 10시, KBS1 ‘생로병사의 비밀’에서 기억력을 되찾기 위한 실천의 시간과 극복방법을 확인해보자.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