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을
주름잡아
구김살 없이
다려놓은 햇볕.
조용히
강물 따라
흘러갔는데
눈 떠보니 바다.
△ 200년대 초반에 발생한 ‘민조시’는 우리 전통 시가를 발전적으로 확장한 것이다. 3, 4, 5, 6(3+3, 2+4)의 18자로 만들어진 시가문학이다. 음수율을 엄격히 지키되 내재율을 살려 쓰는 장르다. 요즘 현대시에서 거의 사라져가고 있는 마침표도 반드시 찍어야 한다. 민조시의 ‘노래(歌)는 얼마든지 여지가 있다.
“조용히/강물 따라/흘러갔”다는 말은 세월이 주는 의무와 책임에 순응하며 살았다는 말일 것이다. 어느 순간 정신 차려보니 “바다”에 도착했다는 시적 화자는 한 소식을 깨닫고 이제는 고요하고 넓은 정신을 갖게 되었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 작품의 “바다”는 우리가 도달하고야 마는 생의 궁극이다./ 김제김영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월 #주름 #민조시
기고 gigo@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