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도 기회 있어야" 최태원 회장이 제안한 첫 실험은

2025-04-13

지난 12일 한 방송사 다큐에서 각종 아이디어 소개

"어디 사느냐로 꿈과 현실 달라지는 상황 바꿔야"

"미국에 비해 한국은 기업들의 규제 장치가 많다"

'서울민국이 되지 않도록...'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지난 12일 방영된 한 다큐멘터리에 직접 출연해 지체되는 산업 혁신, 부족한 일자리, 저출생, 지역소멸 등 대한민국의 구조적 난제와 관련해 아이디어를 내놨다. 최 회장은 "선진국과 비교해도 절대 뒤지지 않는 사업 여건을 지역에 만들면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 거점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고 강조하며 ▲인재 육성·유치, ▲인프라(AI 산업 기반 조성), ▲파격적인 규제 완화, ▲인센티브 지원 4가지를 제시했다.

13일 대한상의는 "새로운 국가 리더십 출범을 앞두고, 기업들이 연구한 ‘메가 샌드박스’ 아이디어를 국민의 입장에서 쉽게 알리고자 12일 KBS 다큐멘터리 '미래 사회로 가는 길, 메가 샌드박스'를 방영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다큐에 출연해 인재 육성·유치을 두고 “대학 교육이 취업까지 연계되는 교육-일자리 매칭이 필요하다”고 하면서 “지역의 대학을 선택하면 졸업 후 원하는 일자리까지 보장해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인프라에 대해서는 “대한민국에 AI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진 곳이 한 곳이라도 있어야 한다”며 “그래야 이 인프라를 바탕으로 어떤 산업에 대해서도 AI 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걸 보여줄 수 있다”고 말했다. 세 번째로 규제에 대해서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업이 ‘이런 걸 해도 되나요?’라고 물었을 때 ‘뭐든지 하세요’라고 할 수 있도록 열린 마음과 열린 규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제형 스트라티오 대표도 한국의 규제환경에 대해 “미국에서는 이 기술이 ‘최초다’, ‘최고다’라는 인식이 들면 바로 과감하게 투자하고 그 기업을 해당 분야의 1등으로 만들려고 하는 카우보이 정신 같은 것이 있다”면서 “반면에 한국에서는 다른 나라에 기존 사례가 있는지 분석하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을 들이다 보니 기회를 놓치고 만다”고 말했다.

네 번째로 인센티브에 대해서 최 회장은 “지역 스스로가 기업이 원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수준은 국내 기업뿐 아니라 글로벌 기업 수요까지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청년들 "지역은 네트워크 및 기회 부족"... 어디 사느냐에 따라 꿈·현실 달라져

다큐는 부산 출신 여성 스타트업 창업가 손보미 대표가 고향을 찾아 활력을 잃어가는 도심 곳곳을 둘러보며 지역의 현실을 조명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어서 청년들로 북적이는 판교와 그곳에서 일하는 지역 출신 직장인들의 모습을 대조해서 보여준다. 그들은 “할 수만 있으면 고향에 남고 싶다”고 말하면서도 “지역에 ‘네트워크’와 ‘성장의 기회’가 부족해” 어쩔 수 없이 수도권으로 몰리게 될 수밖에 없다고 털어놓았다.

실리콘밸리에서 적외선 이미지 센서 반도체 제조기업 스트라티오를 창업하고 작년 대구와 판교에 법인을 세운 이제형 대표는 “서울의 인재들은 포부가 굉장히 큰 반면, 지역의 인재들은 실력이 충분히 뛰어난데도 욕심을 내지 못하는 경우를 많이 봤다”면서 “어디에 사느냐에 따라 청년들의 꿈과 현실이 달라지는 것 같아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지역 기업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도 조명했다. 영상 AI 분석 업체 스피어AX를 창업한 박윤하 대표는 대구에서 나고 자라 서울에서 직장생활을 하다 귀향해 창업한 케이스다. 직원들의 평균연령은 놀랍게도 30대 초반인데, 박 대표는 “희망하는 직원에게 학비를 지원하고, 타 지역 출신의 경우 주거비도 지원해 준다”고 했다. 실제 회사의 지원을 받고 있는 한 직원도 “대학원 학비까지 지원해 주는 회사는 잘 보지 못했다”며 “직원들 입장에서는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다큐는 해외 사례도 소개했다. 올해 초 CES 2025에서 토요타 아키오 회장이 직접 소개해 화제가 됐던 우븐시티는 일본 시즈오카현의 옛 공장 터에 2000명이 거주할 수 있는 규모로 건설 중이다. 도요타는 이곳에서 자율주행, AI를 포함한 각종 첨단기술을 실험하고 개발할 계획이다.

나카무라 요시아키 센슈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도요타 같은 민간 기업이 참여해 이상적인 도시를 만든다는 것이 큰 의미”라며 “매력적인 도시를 만들어 인구가 모이고 그 주변 지역도 번창하는 긍정적 순환이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다른 글로벌 혁신도시 싱가포르에서 암 치료 솔루션 개발업체 KYAN 테크놀로지를 경영하고 있는 휴고 사베드라 대표는 “소비자나 다른 기업에게 우리의 새 기술을 왜 써야 하는지 설득하려면 충분한 검증을 통해 증명하는 게 우선”이라면서 “싱가포르는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 속도가 빠르고 개방성도 높아 기업들이 새로운 실험에 나서기에 가장 적합한 곳”이라고 말했다.

반면 국내 사업 여건은 아직 글로벌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 국내 최초로 소형 화물차 자율주행 솔루션을 개발해 2023년 텍사스에 진출했던 마스오토의 노재경 부대표는 “미국은 논리적으로 ‘이 정도 기준만 충족하면 되겠다’ 판단되면 실험이나 출시를 허용해 주지만, 국내에서는 이중·삼중으로 규제가 걸려있는 경우가 많다”면서 “새로운 기술에 대해 네거티브 규제를 적용하는 것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메가 샌드박스 : 지역에 선진국 수준의 사업여건 만들어 지역소멸, 저출생 문제도 해결

다큐는 앞서 등장한 손보미 스타씨드 대표, 이제형 스트라티오 대표, 마강래 중앙대 교수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찾아가 좌담회를 갖는 모습을 공개했다. 좌담회의 사회를 맡은 마 교수가 “관세장벽 등 국제질서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국내적으로는 지역소멸 위기마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며 우려를 표하자, 최 회장도 이 같은 인식에 동의하고 “AI가 모든 산업을 바꿔버리는 기술 혁명마저 다가오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경제 시스템과 비즈니스 모델을 바꿔야 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마 교수가 대한민국의 구조적 문제를 풀 수 있는 솔루션으로서 대한상의가 제시하는 메가 샌드박스가 무엇인지 질문하자 최 회장은 “양질의 일자리가 지역에 만들어지면 인구가 유입되고 교육·주거 등 정주여건이 개선돼 지역소멸과 저출생 문제까지 동시에 풀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한두 곳을 먼저 정해 집중적으로 성공시키면 그걸 모델로 해서 다른 지역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총 48분 분량의 다큐 전체 영상은 유튜브를 통해 다시 볼 수 있으며, 최태원 회장의 ‘메가 샌드박스’ 아이디어가 담겨 있는 좌담회 영상 전체 클립은 대한상공회의소 유튜브 채널에서 별도로 볼 수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