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7일, 강원도 인제에 위치한 ‘인제스피디움(3.908km)’에서는 국내 모터스포츠를 대표하는 ‘2025 오네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6라운드’가 펼쳐졌다.
대회를 대표하는 토요타 가주 레이싱 6000 클래스에서는 금호 SLM의 노동기가 승리를 거머쥐고, 정의철(서한 GP)가 지옥에서 살아 돌아오는 장면을 선사하며 현장을 찾은 관람객들의 이목을 끌었다.
프리우스 PHEV 클래스에서는 시즌 1위를 달리고 있던 송형진이 오프닝 랩에서 강창원과 충돌하며 ‘리타이어’하는 최악의 상황을 마주했고, 그 결과 시즌 챔피언 경쟁에 새로운 혼란을 자아냈다.
올 시즌 다섯 번째 레이스를 아쉬움으로 마무리한 송형진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Q 간단한 소개 부탁한다.
송형진(이하 송): 현재 어퍼스피드 팀 소속이며, 현재 분당 토요타 등 여러 곳의 후원을 받아 프리우스 PHEV 클래스에 참가하고 있다.
Q 프리우스 PHEV 클래스에 참여하면서 느낀 소감은?
송: 토요타코리아가 슈퍼레이스라는 큰 무대 안에 프리우스 PHEV 클래스를 만들어줘서 출전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굉장히 기쁘다. 이전에는 아마추어나 소규모 대회 위주로 나섰지만, 챔피언십이라는 큰 무대에서 달리니 훨씬 진지하게 임하게 된다.

Q 이번 레이스 형태는 처음인데, 차와 경기 운영 측면에서 느낀 점은?
송: 토요타 차량 품질은 워낙 좋다. 서킷을 달리면서도 성능과 안정성 면에서 배우는 것이 많다. 프리우스 자체는 ‘빠른 차’라고 하기 어렵지만, 레이스 초심자가 기본 운전을 배우기에는 매우 적합하다.
Q 원래는 후륜구동 차를 주로 달렸는데, 프리우스의 장단점은?
송: 후륜구동 차만 오래 타와서 처음엔 망설였다. 전륜구동 경험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토요타가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안에 새로운 클래스를 만든 사실만 보고 참가했다. 안 타본 차를 배우고 연구하는 과정 자체가 재미있다.
차이가 있다면 후륜구동 대비 운전 재미가 조금 덜하다는 점 정도다. 차가 나쁘다는 뜻은 아니고, 구동 방식 차이일 뿐이다.

Q 프리우스 PHEV 클래스만의 매력은?
송: 출력은 223마력이지만, 레이스를 하면서 시시각각 출력이 달라진다. 일반 원메이크 레이스는 성능이 일정하지만, 프리우스는 랩을 거듭할수록 성능이 변한다. 격차가 벌어지는 포인트도 각기 달라서 순간순간 기록이 바뀌고 추월과 배틀이 발생하는 재미가 있다.
Q 하이브리드 레이스만의 특성은?
송: 팀 노하우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하이브리드, 특히 PHEV이기 때문에 배터리 관리가 레이스 후반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 작년까지만 해도 ‘풀 페이스로 달려야 한다’고만 생각했지만, 올해는 배터리를 아껴야 한다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걸 느꼈다.

Q 배터리 충전과 관련한 규정은 있나?
송: 따로 정해진 규정은 없다. 다만 지각한 팀은 배터리를 100% 못 채운 상태로 출발해야 할 수도 있다.
Q 레이스 중 페이스 유지나 멘탈 관리는 어떻게 하나?
송: 항상 악에 받쳐 있다(웃음). 초보 시절부터 쌓인 경력 덕에 레이스에 익숙해지고 적응했다. 추월을 당하면 멘탈이 흔들리지만, 얼마나 빨리 다잡느냐도 모터스포츠의 일부다. 결국 차로 싸우는 게 아니라 정신 싸움이므로, 마음을 빨리 부여잡고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Q 참가자 만족도가 높은 이유는?
송: 불만이 있을 수 없다. 토요타가 많은 지원을 해주기 때문이다. 참가비는 없고, 브리지스톤에서 타이어를 싸게 공급하고 교체까지 해준다. 선수들이 개인적으로 부담할 비용이 거의 없고, 큰 사고도 별로 없으며 서로 배려하는 분위기 속에서 레이스가 진행된다.

Q 한국 시장은 작지만, 토요타가 모터스포츠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점을 어떻게 평가하나?
송: 서킷 입문도 토요타였고, 지금까지 탄 차도 토요타다. 앞으로도 계속 탈 계획이다. 토요다 아키오 회장이 모터스포츠를 대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바라는 점은 한국토요타가 모터스포츠에 더 적극적으로 임하는 것이다.
일본에서 오토살롱이나 모터스포츠 행사를 열면 대규모 전시도 함께 진행되므로, 이를 참고해 더 풍성한 이벤트를 만들었으면 한다.
Q 프리우스 외 다른 클래스를 희망하나?
송: GR 브랜드를 좋아한다. GR코롤라나 GR야리스 같은 차로 경기를 열어봤으면 한다. 프리우스 같은 대중적 클래스도 좋지만, 모터스포츠 성격을 강화한 경기도 열리길 바란다.

Q 만약 GR86 원메이크 레이스까지 운영된다면?
송: 요청해봤지만 아직 어렵다고 한다. 그러나 두 클래스가 동시에 열린다면, 두 경기에 모두 참가하고 싶다(웃음).
Q 마지막 경기를 앞두고 각오는?
송: 레이스는 끝날 때까지 모르는 것이다.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한다. 마지막 경기는 이율 드라이버와 함께 끝까지 해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