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전자증명서 발급 건수가 2020년 대비 54배나 급증하는 등 각종 디지털정부 서비스가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27일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 행정안전통계연보'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이후 지난 4년 간 국민 일상 속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이뤄졌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전자증명서 발급 건수가 약 2620만 건으로 2020년 약 48만 건에서 54배 증가했다. 전년도인 2023년과 비교해도 40.6% 증가하는 등 전자증명서 이용 건수가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온라인 민원 이용률도 2020년 59.4%에서 2024년 83.7%로 24.3%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주민센터 방문 대신 온라인을 이용하는 민원인이 늘어남과 동시에 온라인에서 이용가능한 민원서비스가 이전보다 증가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종이 없는 행정' 구현을 위해 도입한 '민원 24' 서비스 이용건수도 지난해 처음으로 1000만건을 돌파했다. 민원24는 공공이 민간과 서류를 주고 받을 때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종이 서류를 줄이자는 차원에서 기획됐다. 2020년 340만건에서 빠른 속도를 증가해 지난해 이용건수 1020만건을 넘어섰다.
부처·지자체·교육기관 등 공공 내 전자문서 유통 건수도 지난해 1억 9000만건에 달해 종이 대신 전자문서를 통한 소통·결재 등이 활발히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기업이 이용 가능한 공공데이터 활용도 이전 대비 늘었다.
공공데이터 민간 활용 실적은 2020년 2084만 건에서 지난해 7579만 건으로 3.6배 확대됐다. 공공데이터 개방도 지난해 9만 7000여건으로 2020년 5만 5000여건에 비해 두 배 가량 증가했다.
우리나라는 이 같은 공공데이터 활용·개방 성과를 통해 지난 2023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공공데이터 개방 종합 순위에서 글로벌 1위를 기록한바 있다. 당시 OECD 평균이 0.48점(10점 만점)으로 한국은 0.91을 기록, 비교 대상국 가운데 최고점을 받았다.
이밖에 안전신문고를 통한 신고 건수는 2020년 188만 9000여 건에서 2024년 1243만여 건으로 6.6배 늘었으며 특히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65.2% 증가했다. 이는 국민이 생활 속 위험 요소를 직접 신고하며 '안전 주체'로 참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다 정교하게 정책을 설계해 국민 생활을 더 편리하게 만들고, 안전한 일상을 직접 느낄 수 있도록 정책을 펼쳐가겠다”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