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수소버스 연료보조금 kg당 5000원으로 상향

2025-02-23

국토교통부는 내달 1일부터 수소버스에 지급하는 연료보조금을 1kg당 3600원에서 5000원으로 상향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소버스를 운행하는 버스사업자의 연료비 부담을 완화해 수소버스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함이다.

이는 정부가 지난 1월 15일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발표한 '친환경차·이차전지 경쟁력 강화 방안'의 후속조치다.

국토부는 오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18년 대비 40% 감축)와 수소버스 보급 목표(2030년 2만1000대) 달성을 위해 지난 2021년 9월부터 수소버스 연료보조금을 지급 중이다.

수소버스 연료보조금은 최근 수소 가격 동향, 전기·경유·CNG 등 다른 버스와의 연료비 비교 등을 통해 산정하고 있다. 전국 평균 수소 판매가는 kg당 약 1만원이다. 현재 정부는 1kg당 3600원의 보조금을 지급 중이다.

수소버스 연료보조금 지급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충전 비용이 저렴한 전기버스에 비해 버스사업자의 연료비 부담이 높고 수소충전소 및 정비소가 아직까지 충분히 조성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버스업계는 수소버스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국토부는 산업부·환경부, 지자체 및 차량제작사·충전소사업자 등 업계 의견을 수렴해 수소버스 연료보조금을 1kg당 5000원으로 대폭 상향키로 결정했다.

앞으로 수소버스를 운행하는 버스사업자의 실제 연료비 부담은 1kg당 6400원에서 5000원으로 약 22% 감소한다. 연간 연료비는 시내버스 기준 약 3400만원에서 약 2650만원으로 전기버스와 유사한 수준으로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투명한 유가보조금 지급을 위해 누구나 유가보조금 제도 현황, 지급 내역 및 최신 정책 정보를 알 수 있고 유가보조금 부정수급 신고도 가능한 유가보조금관리시스템 대국민 서비스도 3월 4일부터 시행한다.

그간 유가보조금관리시스템은 유가보조금 업무 담당 공무원만 접근 가능했다.

엄정희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은 “수소버스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수소버스의 구매, 운행 및 유지관리 3단계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핵심”이라며 “장거리 모델(시외·고속버스용) 개발, 수소 연료비 부담 완화, 전국단위 수소 충전·정비 인프라 확충 및 수소버스 및 수소 생산비용 절감 등을 관계부처 및 업계와 함께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