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전쟁’에 대비해 ▲통상환경 리스크 긴급대응 ▲수출시장 다변화 ▲수출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위기대응 종합 컨설팅 강화 등으로 대응한다.
도는 이같은 내용의 ‘수출방파제’ 4대 전략 12개 지원사업을 적극 추진 중이라고 23일 밝혔다.
우선 다음 달 도, 경기FTA통상진흥센터, 자동차부품 관련 업계 등으로 구성된 ‘대미 통상환경조사단’을 파견해 미국 주정부, 상공회의소 등을 방문해 통상 환경을 조사한다.
조사단은 현지 진출 국내기업, 전략적 파트너사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6월쯤에는 도내 자동차 부품기업들의 현지 방문을 통한 맞춤형 컨설팅도 제공한다.
또 피해를 입은 100개 수출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환변동 보험료를 지원한다. 환변동보험은 환율 변동에 따른 손실을 보전해주는 금융상품이다.
아울러 도는 최대 20억 예산을 확보하고 수출기업의 옵션형 환변동 보험료 전액(최대 2000만 원 한도)을 예산 소진 시까지 지원한다.
옵션형 환변동보험은 환율상승에 따른 이익금을 납부할 의무가 없어 기업 부담이 전혀 없다.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해선 중소기업 수출지원 종합 플랫폼 경기비즈니스센터(GBC)를 6개 신설, 총 25개 운영한다.
올 상반기에는 캐나다 밴쿠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추가 설치한다. 하반기에는 미국 댈러스, 칠레 산티아고, 폴란드 바르샤바 등으로 확대한다.
이밖에 새로운 자유무역협정(FTA) 발효가 예상되는 중동지역 등에서 수출상담회를 4회 개최해 총 40개사를 지원하고 ‘대한민국 우수상품전시회(G-FAIR)’도 연 3회로 확대한다.
수출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대책으로는 유럽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본격 시행 및 미국 탄소세 도입에 대비해 컨설팅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철강·자동차 부품 제조기업 20개를 대상으로 탄소배출량 산정을 우선 지원하고 중소기업 30개사에는 찾아가는 사전 진단 서비스로 중소기업의 대응방안 마련을 돕는다.
또 350개사를 대상으로 탄소세 규제 동향과 미국 정책 변화 등 최신 이슈를 반영한 탄소배출량 산정 교육을 지원한다.
도는 관세환급 제도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컨설팅과 실무자 교육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위기대응 종합 컨설팅 강화 차원에서 ‘수출 애로 통합지원센터’를 통해 피해사례를 접수해 맞춤형 솔룻녀 제공과 지원사업에 연계시키는 방안을 추진한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내 ‘비상민생경제긴급지원센터’를 통해 온·오프라인 24시간 신속상담 대응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경기FTA통상진흥센터는 올해 8회에 걸쳐 200개사를 대상으로 미국 통상정책 변화 설명회를 개최하고 75개사에는 미국 온라인 플랫폼인 아마존 입점 교육과 마케팅비를 지원한다.
아울러 한미FTA 사후검증 강화에 대비하는 컨설팅과 FTA전문상담센터 상담을 제공한다. 국내 복귀 희망기업에도 정보 제공과 설비 자동화, 중대재해 안전진단 등 연착륙을 지원한다.
김 지사는 “긴박한 무역환경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기 위해선 신속한 불확실성의 제거와 경제정책의 대전환이 전제가 돼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우선 무역정책(America First Trade Policy)’을 내세우며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 주요 품목에 대한 관세를 인상할 방침이다.
씨티은행 분석에 따르면 이로 인해 한국 GDP가 최대 0.20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