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2025-08-07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10월 25일부터 실손의료보험 청구 전산화 시스템인 ‘실손24’가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과 약국 약 9만6000곳으로 확대된다. 이에 따라 병원이나 약국을 방문한 환자들이 복잡한 서류 절차 없이 온라인으로 손쉽게 실손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7일 금융위원회는 금융감독원, 보험개발원, 생명·손해보험협회 등과 함께 유관기관 점검회의를 열고 실손24의 참여 현황과 시스템 운영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는 지난해 10월 병원급 의료기관과 보건소를 대상으로 1단계로 먼저 시행됐고, 올해는 의원급 의료기관과 약국으로 확대되는 2단계가 시작된다.

지난 5일 기준 실손24에는 병원 1045곳, 보건소 3564곳, 의원 861곳, 약국 1287곳 등 총 6757개 요양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1단계 대상의 참여율은 59.1%에 달하지만, 2단계 대상인 의원 및 약국의 참여율은 아직 2.2%로 낮은 수준이다.

금융당국은 참여 확대를 위해 다양한 유인책을 마련하고 있다. 소비자가 실손24 참여 병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지도 플랫폼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미참여 요양기관에 참여를 요청할 수 있는 기능도 새롭게 도입했다. 또한 보험업계와 함께 참여 요양기관 및 전자의무기록처리(EMR) 업체에 서버비, 시스템 개발비, 유지 보수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금융위원회는 오는 11일부터 ‘실손24’에 대한 대국민 홍보도 시작한다. 네이버, 카카오, 유튜브 등 주요 플랫폼을 비롯해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등 대중교통 시설, 약국 봉투, 의약품 온라인몰, 비대면 진료 애플리케이션 등에서도 실손24 관련 광고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금융위는 실손24의 참여 확대를 위해 정책금융기관의 보증료와 화재보험 등의 보험료 감면 방안을 추진 중이며, 네이버페이 포인트 제공 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인센티브 이벤트도 검토하고 있다. 또 의료계와의 소통 강화를 위해 구성된 법정 회의체인 ‘실손전산운영위원회’를 통해 전산화 활성화를 위한 과제들을 논의하고, 단계적으로 개선 방안도 발표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가 성공적으로 정착하려면 의료계, 보험사, 소비자 모두의 협조가 필요하다. 실손24의 참여율을 높여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보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