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중국 반독점 규제 당국이 구글과 엔비디아에 이어 애플(AAPL)을 겨냥한 조사를 준비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 같은 보도에 5일(현지시간) 뉴욕 증시 개장 전 애플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2% 넘게 하락하고 있다.
5일(현지 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국가시장감독총국이 애플의 정책을 검토 중이며, 특히 30%에 달하는 애플의 '인앱 결제' 수수료와 외부 결제나 앱 스토어와 관련한 제한 규정 등을 살펴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중국 규제 당국의 이 같은 움직임을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관세 조치에 대한 보복성 조치로 풀이했다. 특히 중국 내 매출 비중이 높은 애플 등 빅테크를 압박해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상 카드로 쓰려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 국가시장감독총국은 하루 전인 4일에는 구글에 대한 반독점법 위반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의 시장 지배력과 이 체제를 사용하는 오포, 샤오미 등 중국 휴대전화 제조업체의 피해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둘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구체적인 조사 내용이나 구글이 위반한 사항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중국 당국의 구글을 겨냥한 조사는 지난 2019년 시작됐지만, 수년 동안 보류됐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인 지난해 12월 재개됐다.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같은 달 엔비디아를 상대로도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는 별도로 중국 상무부는 캘빈클라인 브랜드 등을 보유한 미국 의류 기업 PVH 그룹과 유전체 분석 장비 제조 회사 일루미나를 신뢰할 수 없는 기업으로 지정한다고 4일 공개했다.
미국이 지난 4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를 시행하자 곧바로 중국이 10일부터 미국 일부 상품에 10%,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LNG)엔 15%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한다는 내용의 보복 관세를 발표하는 등 양국 간 관세 정책이 본격화하고 있다.
미중 간 무역 전쟁 2라운드를 앞두고 양국 정상의 기싸움도 팽팽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24시간 안에 통화하겠다고 했으나, 이날은 통화를 "서두르지 않겠다"며 하루 전 발언을 뒤집었다. 중국의 보복 관세 조치에 대해서는 "괜찮다"고 말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