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사이트] 김기찬 인도네시아 프레지던트대 국제총장 “장인정신으론 망한다…지금은 피봇팅 시대”

2025-10-29

“하던 일을 똑같이 반복하는 건 관리자입니다. 새로운 방식을 시도하고, 위험을 감수하는 사람이 기업가입니다.”

김기찬 인도네시아 프레지던트대학교 국제총장은 한국의 중소기업이 여전히 '장인정신'과 '관리형 사고'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은 피봇팅(pivoting)과 기회 포착의 시대”라며 “역량을 재구축(capability building)하지 못한 기업은 10년 안에 도태된다”고 강조했다.

김 총장은 일본의 쇠퇴 원인으로 '장인정신의 함정'을 꼽았다. 도요타식 품질 경쟁에 안주하며 변화의 흐름을 읽지 못한 것이 산업 몰락의 출발점이었다는 분석이다. 그는 “한국 중소기업들도 기존 제품을 싸게, 조금 더 좋게 만드는 데 집중한다면 모두 뒤처질 것”이라고 했다.

이어 “정주영, 이병철 회장은 기존 사업을 반복하지 않았다. 시장 변화에 맞춰 새로운 분야로 확장하며 끊임없이 피봇팅했다”며 “이런 변화 대응력이야말로 기업가정신의 본질”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한국 사회는 기업가정신을 여전히 '혁신'이나 '도전'으로만 이해한다”며 “실제 본질은 기회를 보고, 그 기회를 실행하는 능력”이라고 짚었다. 하버드대 하워드 스티븐슨 교수가 정의한 대로 '자원과 관계없이 기회를 추구하는 행동'이 기업가정신의 핵심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중소벤처기업부 정책에 대해서도 “방향성을 잃었다”고 꼬집었다. 창업 숫자를 늘리는 정책보다 사람에게 기회를 감지하고 실행할 역량을 길러주는 교육,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017년 중기부 출범 당시만 해도 중소기업의 해외매출 비중을 10년 내 두 배로 확대하겠다는 목표가 있었지만, 오히려 현재는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는 것이다. 수출기업 수 역시 9만5000개에서 10년째 제자리다.

김 총장은 “정책은 목표와 목적지를 제시해야 한다”며 “지금처럼 'AI·스마트공장' 중심의 단기 프로젝트에 머물러선 안 된다. 중소기업의 역량을 키워 세계 시장으로 나가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회의 땅으로 인도네시아를 지목했다. 2000년대는 중국, 2010년대는 베트남이 성장의 무대였다면, 지금은 인도네시아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구 2억9000만 명, 연 6%대 성장률의 거대 시장 인도에 진출한 한국 기업은 2300개에 불과하다. 김 총장은 “중국은 반면교사이고, 인도네시아는 기회”라며 “제도와 인프라가 완벽하지 않지만,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산업의 실험이 가능한 곳”이라고 말했다.

김 총장은 기업가정신의 궁극적 목표로 '사람 중심 경영'을 꼽았다. 그는 “기업은 세상의 문제를 생산적으로 해결하는 조직이어야 한다”며 “돈을 벌기 위해 일하는 기업은 오래가지 못한다. 세상의 문제를 풀고자 하는 사람이 진짜 기업가”라고 했다.

이 같은 철학은 실제 현장에서 실험으로 이어졌다. 김 총장은 프레지던트대 캠퍼스 내에 '사하밧(Sahabat·친구)' 카페를 열고, 커피 200잔을 팔면 100잔을 무료로 나누는 모델을 운영 중이다. 한국의 성심당처럼 '기빙(giving)과 그로잉(growing)'이 선순환하는 구조다. 이 모델은 '오아시스 프로젝트'로 확장돼, 현지 대학생들에게 무료 식수를 제공하고 건강한 캠퍼스 환경을 만드는 사회혁신 운동으로 발전하고 있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