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육아휴직자 중 남성 비율이 처음으로 30%를 넘었다. 23일 고용노동부는 이런 내용의 ‘일·육아지원제도 사용 현황’을 발표했다. 지난해 육아휴직자는 역대 최대치인 13만2535명으로 전년보다 5.2% 증가했다. 이 가운데 남성은 31.6%를 차지했다. 이 수치가 30%를 넘은 건 처음이다. 남성 육아휴직자 수는 2015년 4872명에서 지난해 4만1829명으로 10년 사이 9배가량으로 불어났다. 지난해 육아휴직자 중 중소기업(우선지원대상기업) 소속 비율은 56.8%로 전년보다 1.2%포인트 올라갔다.
육아휴직자 증가세는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새해 첫 날부터 30영업일 동안(1월 1일~2월 14일) 1만8605명으로 전년 동기(지난해 1월 1일~2월 18일)보다 42.6% 불었다.
육아휴직자가 늘고 남성 비율도 같이 올라간 건 세태 변화를 반영한다. ‘부모함께 육아휴직제’ 같은 정부 지원 정책이 강화된 영향도 있다. 지난해부터 자녀 생후 18개월 이내 부모 모두 6개월 육아휴직 사용 시 육아휴직 급여를 각각 매월 최대 450만원까지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출산·육아에 대한 민간 기업의 지원도 늘어나고 있다. 이날 두산그룹은 ‘육아 휴직 서포터즈 지원금’을 신설했다고 밝혔다. 6개월 이상 육아 휴직자가 속한 조직의 팀원에게 1인당 최대 50만원까지 주는 내용이다. 출산 경조금도 올렸다. 직원 혹은 직원 배우자가 출산한 경우 첫째 자녀 300만원, 둘째 500만원, 셋째 이상은 1000만원의 축하금을 지급한다. 자녀를 키우는 2년 동안 월 20만원씩 보육 지원금도 준다. 법정 육아 휴직 첫 1개월은 기본급에서 정부 지원금을 제외한 차액만큼 회사가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