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층 수술 환자의 심뇌혈관 합병증을 인공지능(AI)으로 사전에 예측하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서정원 교수 연구팀(권주성 교수, 안형범 전임의, 유수영 교수)은 29일, 65세 이상 고령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30일 이내 발생할 수 있는 심근경색, 심정지, 뇌졸중 등 주요 심뇌혈관 합병증 위험을 예측하는 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RCRI(개정된 심장 위험 지수)를 사용해 위험도를 평가했지만, 정보가 제한적이어서 예측 정확도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혈액검사 결과, 기저질환, 복용 약물, 수술 종류 등 환자의 전자의무기록(EMR) 전체를 활용하는 머신러닝 기반 모델을 구축했다.
4만6000여 명의 분당서울대병원 환자 데이터를 학습한 결과, 예측 정확도 지표(AUROC)에서 0.897을 기록, 기존 RCRI(0.704)보다 크게 향상된 성과를 보였다. 서울아산병원 환자 데이터를 활용한 외부 검증에서도 높은 신뢰성을 입증했다.
이번 모델은 추가 검사 없이 기존 EMR 데이터만으로 빠르게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어, 향후 다양한 병원 시스템에도 쉽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정원 교수는 "고령 환자는 건강 상태가 매우 다양해 사전 위험 예측이 환자 안전에 직결된다"며 "AI 모델을 병원 시스템에 연동해 의료진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았으며,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국제학술지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에 게재됐다.
[ 경기신문 = 김정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