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을 통한 공연 암표 거래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담당할 전담 인력과 대응 체계가 턱없이 부족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9일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연 분야 암표 신고 건수는 2020년 359건에서 2022년 4224건으로 10배 이상 크게 늘었다. 2023년과 2024년에는 2022년 대비 줄었지만 각각 2161건, 2224건으로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였다. 올해는 8월까지 접수된 신고 건수가 1020건이다.
K팝의 인기가 더해지면서 암표 가격은 혀를 내두를 정도로 치솟고 있다.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공연 예술통합전산망에 따르면 31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인천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열리는 진행되는 ‘엔시티 위시’(NCT WISH)의 콘서트의 경우 정가 15만 4000원인 시야제한 일반석 티켓이 온라인 암표 사이트에서 최저 36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 정가 19만 8000원인 VIP 티켓은 정가의 40배가 넘는 800만 원까지 값이 뛰었다.
공연 티켓을 부정 판매하는 행위는 공연법에 따라 금지돼 있지만 혐의를 입증하기가 쉽지 않다. 암표 판매상을 처벌하려면 △매크로 등 부정한 방법으로 예매 △웃돈을 받고 판매 등 처벌을 위한 조건을 모두 예매업체가 입증해 수사기관에 제공해야 한다.
실제 신고자의 신고에 의존하다보니 조치 실적 또한 저조하다. 2023년부터 올해 8월까지 전체 신고 건수 중 ‘유효신고’로 분류된 건 전체의 5.6%인 306건에 불과했다. 그나마 이중에서 각 예매처와 협력해 발권 취소 등 실질적 조치를 이끌어낸 건 206건에 그쳤다.
암표를 전담할 인력은 처참한 수준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 공정상생센터에서 운영하는 ‘대중문화예술 분야 온라인 암표신고센터’의 전담 인력은 단 1명이다. 이마저도 암표 업무 외에 다른 업무를 병행하고 있다.
박 의원은 “문체부가 전담인력을 확충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대응하는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며 “암표 근절을 위해 정부 부처, 예매처·플랫폼과의 협력 체계 강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