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클라우드 선도기업 메가존클라우드(대표 염동훈)의 모회사 메가존은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로코드 플랫폼 사업부인 멘딕스(Mendix)와의 총판 계약을 바탕으로 로코드 비즈니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고 26일 밝혔다.
차세대 AI·로코드 혁신 플랫폼인 ‘멘딕스 11’을 국내 시장에 본격 공급하기 위해 양사는 지난 25일 웨스틴 서울 파르나스 아틀라스홀에서 ‘멘딕스 커넥트 2025’ 행사를 공동 개최하고, 차세대 AI·로코드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CONNECT·CREATE·CHANGE’를 슬로건으로 열린 이번 행사에서 메가존은 차세대 AI·로코드 혁신 전략과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디지털 전환 적용 방안을 소개했다.
행사는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오병준 한국지사장과 메가존디지털 조영국 부사장의 환영사로 시작됐다.
오병준 지사장은 “기업 환경은 이제 로코드 플랫폼과 AI가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단계를 넘어 서로 결합해 시너지를 발휘하는 에이전틱(Agentic) 시대로 진입했다”며 멘딕스 커넥트 2025를 통해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서 AI 혁신 전략을 바탕으로 고객사들과 새로운 가능성을 함께 모색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메가존디지털 조영국 부사장은 “멘딕스는 아이디어만 있다면 전문 개발자가 아니어도 누구나 쉽게 소프트웨어(SW)를 만들 수 있는 개발 환경을 구축해 비즈니스 민첩성을 극대화하고, 데이터 기반의 AI 활용을 지원함으로써 고객 비즈니스의 성장을 이끌어내는 새로운 전략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메인 세션에서는 멘딕스 11의 신규 기능과 AI 연계 방안, 그리고 기술의 시너지가 각 회사에게 가져올 수 있는 성장 가능성에 대해 발표가 진행됐다.
첫 번째 기조 발표에서 지멘스 이수아 부문장은 ‘AI 기반 디지털 혁신 전략’을 주제로 글로벌 제조·산업 기업들이 AI와 로코드를 활용해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한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서 멘딕스 아태지역 사이먼 게린 CTO는 ‘The Software Shift to AI’를 주제로 로코드·데이터·AI의 기술적 변화가 기업의 실무자와 SW 개발과 운영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했다.
산업 적용 사례 발표도 이어졌다.
지멘스 강철 전무는 인더스트리 4.0 관점에서 제조 전반의 프로세스를 로코드로 연결하는 전략을 제시했으며, 메가존디지털 박유진 팀장은 멘딕스와 SAP 코어 통합을 기반으로 구축한 지능형 구매·발주 시스템 사례를 소개했다.
현대자동차 홍시형 연구원은 웹 기반 GUI를 활용한 열에너지 시스템 버추얼 개발환경 사례를 발표하며 제조·해석 분야의 디지털 혁신 가능성을 공유했다.
이어 이몰디노 신종현 CTO는 멘딕스를 통해 글로벌 SCM 효율을 대폭 향상한 사례를 설명하며, 로코드 기반 DX의 실제 효과를 강조했다.
강동식 기자 lavita@datanews.co.kr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AI 페스타 2025]“韓·中·美 AI 비즈니스 모델 공유”...충북 AX 글로벌 포럼](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5/news-p.v1.20251125.a6a1ae42860040849a5e5c1b0cc3dfa0_P1.jpg)



![[K-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밋 2025]박소아 오케스트로 CDO, “클라우드 네이티브·가상화 기반 DR 전략 주목받을 것”](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5/news-p.v1.20251125.25803462fcd64ad5aeee3487c8bd2f08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