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pl Personal
“넌 날 뽑고 싶지 않은 면접관!”
20대 취준생은 다 쓰는 챗GPT 활용법
인공지능(AI)이 내주는 퀴즈로 취업준비 필수인 직무분석에 대비하고, 면접에 자신없다면 챗GPT를 ‘압박 면접관’으로 변신시킨다. 조별 발표 때 말곤 PPT 안 만들어봤는데, 올해는 PT(발표) 면접도 생겼다고? 간단한 프롬프트(명령문)만 입력하면, 파워포인트 디자인 정도는 뚝딱 나온다.
취업 준비할 때 AI 안 쓰는 사람보다 쓰는 사람이 더 많은 시대. 20대 구직자 중 69.9%(전체 구직자 중에선 39.6%)가 AI를 활용한다(사람인 설문조사). 하지만 같은 AI라도 어떻게 쓰는지에 따라 결과는 천지차이다. 분량 조절이나 맞춤법 교정 같은 단순한 일만 시키거나 자기소개서를 통째로 맡겨버리는 건 하수. 고수로 통하는 요즘 20대 취업준비생들이 AI 쓰는 방법, 속속들이 들여다봤다. 자소서 쓰는 게 20대만의 일이라고? 요즘 구직시장의 대세는 경력직 채용. 시간이 부족한 경력직일수록 이직할 때 똑똑하게 AI를 활용하는 건 필수다.

1. 🤓STEP 1: 나만의 스터디원 만든다
취업 준비 첫 단계. 나에겐 어떤 능력이 있고, 어떤 직장과 직무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을지 아는 게 우선이다. 대체 어디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다면? 챗GPT와의 대화로 첫걸음을 떼 보자.
“잘 기억해 둬”: 대부분의 기업은 채용 공지에 직무와 회사에 대한 설명을 붙여넣는다. 공고에 나와 있는 직무와 팀에 대한 설명을 챗GPT 프롬프트 창에 입력하고, ‘이 회사에 지원할 자기소개서와 경력기술서를 쓸 거야. 잘 기억해 둬’라고 입력해 두면, 챗GPT가 추후에도 이 배경 지식을 기반으로 답변한다. 만약 실제 같은 직무 또는 업계 종사자에게 들은 정보가 있다면 해당 내용도 참고자료로 입력하면 된다. 이렇게 입력해 둔 내용은 해당 타래(채팅 기록)내에선 배경지식으로 유지된다. 이후엔 해당 직무와 관련해 찾아볼 만한 참고 자료, 비슷한 직무를 물어보면 된다. 가령, ‘비슷한 직무 현직자 인터뷰나 경험담을 찾아줘’라고 주문하면 토스 채용 사이트 내의 현직자 인터뷰뿐 아니라 브런치, 잡코리아 같은 다른 플랫폼들과 타 회사 공식 사이트의 유사 직무 현직자 인터뷰까지 출처와 함께 제시한다(*주황색은 바로 생성AI에 입력할 수 있는 프롬프트, 일부 기능은 유료 버전에서만 작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