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꿈에 늦게 일어나 공항 리무진 시간을 놓쳐 택시를 탔다. 한참 졸다 깨보니 택시는 낯설고 캄캄한 곳으로 가고 있다. 기사님께 공항 가는 거 맞냐고 물으니 끄덕인다. 그 뒤통수를 바라보며 문득 무서운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사실 이건 어린 시절 이래 이 나이 들 때까지 누구나의 마음 한구석에 숨어있는 공포의 장면이다.
구십 노인도 안전하지 않은 세상이다. 얼마 전엔 교수 임용 시 꼭 필요한 성범죄 경력 조회서를 떼러 경찰서에 갔었다. 남성뿐 아니라 나이 많은 여성도 예외일 수 없다. 상식이란 낱말도 진실이나 양심처럼 사라져가는 단어다. 실제로 나는 세상에서 가장 착하고 순수한 중학교 동창이 대학 1학년 때 우이동 계곡에서 차디찬 시신으로 발견되었던 기억을 지니고 있다. 그날 이후 나는 가끔 모진 꿈에 시달린다.
같은 말 쓰는데도 소통 어렵고
옳음의 유효 기간 점점 짧아져
지금 나의 혐오는 정당한가

이어지는 꿈속에서 눈을 뜨니 내가 세상에서 가장 혐오하는 어느 정치인의 얼굴을 한 택시 기사가 나를 내려다보고 있다. 공포에 떨면서 나는 태연한 척 말한다. “혹시 저를 죽일 건가요?” 그 정치인의 얼굴을 한 기사가 예의 기분 나쁜 표정으로 씩 웃으며 말한다. “아주 늘어지게 자더군. 그래서 업어왔지.” 늘 그렇듯 다음 순간 휴 하며 꿈에서 깬다. 정치가 꿈속까지 따라 들어올 만큼 우리는 정치 생각에 사로잡혀있다. 이건 뭔가 많이 잘못된 국민병이다. 우리가 정치에 말려들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다. 가족이나 친구가 실은 어떤 사람이었는지도 모르는 판에 뭘 안다고 다들 쌍심지 켜고 누군가의 편을 드는 것일까?
나는 사랑한다. 고로 존재한다. 나는 혐오한다. 고로 존재한다. 하지만 누군가를 가장 혐오한 순간은 처음부터 혐오했던 사람이 아니라 한때 가장 사랑했던 사람들이 아니었을까? 천국이란 변함없이 사랑하는 사람들의 마을일 것이다. 가끔 택시를 탈 때마다, 다양한 생각을 지닌 사람들과 대화를 나눠 경험적 상식을 지닌 택시 기사들과 싸움이 직업인 국회의원들의 자리를 바꾸면 어떨까 하는 엉뚱한 생각을 한다.
어느 날 택시를 탔다. 그림이 온 국민의 관심을 받기 시작한 즈음이었다. 기사분이 미술관으로 가는 내게 어떤 작품을 사면 가격이 오르냐고 묻는다. 경매에 나온 같은 작가의 그림도 어떤 건 비싸고 어떤 건 터무니없이 싸다. 경매에 나오는 작가의 그림 가격을 누가, 왜, 어떻게, 지금 여기 자리매김하는지 아무도 모른다. 가격을 결정하는 자도 모를 것이다. 참 어이없는 일이다. 마치 이 시대 오늘의 정치 상황처럼.
성경에 의하면 온 땅의 언어는 하나였다. 인간의 오만함으로 하늘에 닿는 높은 바벨탑을 세우는 바람에 하느님은 탑을 무너뜨리는 동시에 사람들의 뜻이 서로 통하지 않도록 언어를 혼잡하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세상의 수많은 외국어가 생긴 걸까? 하지만 외국어로 말하는 게 진짜 휴식일 때가 있다. 오랜 외국인 친구가 내가 막 아무렇게나 떠들어도 찰떡같이 알아들을 때다. 반대로 서로 모국어를 쓰는 사람들끼리 영 소통이 불가능할 때도 너무나 많다.
몇 년 전 돌아가신 친한 친구의 어머니는 열아홉 살에 광견병에 걸린 개한테 물려 죽은 어린 아들을 만날 수 있다는 꾐에 넘어가 평생을 사이비 종교에 바쳤다. 종교에 의지하며 외롭게 살다 돌아가신 어머니는 평생을 속았다고 슬퍼하셨다. 우리는 모두 이 말에 속고 저 말에 휘둘리며 무언가에, 누군가에게, 아니면 자신에게 폭삭 속아 한평생을 살다 간다. 뭐가 옳은지는 아예 중요하지 않다.
나는 점점 짧아지는 옳음의 유효기간에 관해 생각한다. 세상은 나날이 각박해지고 수상해진다. 내가 나인 건 맞는 걸까? 거짓말도 틀린 말도 계속 반복해서 그럴듯하게 말하면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가는 거다. 광고 효과라는 게 바로 그런 거다. “이래도 안 먹을래요?” 하는 것처럼, “이래도 안 믿을래?” 하는 거다. 아군이라 생각되던 사람들마저 소통은커녕 말 한마디에 친구도 잃고 매까지 버는 격이다.
이건 아닌데 싶은, 말도 아닌 말로 다투다 돌아서면 허무하다. 혼잣말이 늘어간다. “나약한 당신, 아무도 믿지 마, 자기 자신도 믿지 마. 그럼 어떻게 살지? 사람들은 전쟁 속에서도 꿋꿋하게 살아.”
주문을 하면 몇 시간 뒤 상품이 도착하는 이 나라의 국민은 알라딘의 마술 램프 하나씩을 지니고 사는 복 많은 사람들이다. 나는 문득 꿈에 등장한 내가 제일 혐오하는 정치인이 세상에서 가장 불쌍한 사람일지 모른다는 엉뚱한 생각을 한다. 오지랖이 넓어지는 연민의 시간, 그것도 휴식이다. 다 괜찮다. 잠시 잘못 돌아가더라도 삶의 시계는 “내가 미쳤나 봐” 하면서 제대로 돌아갈 것이고, 아니라도 할 수 없는 일이다.
황주리 화가·동국대 석좌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