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 위성락 "경제통상·동맹현대화·새 협력, 소기 성과 거뒀다"

2025-08-26

강훈식 비서실장·김용범 정책실장 '통실 3실장'

이재명·트럼프 정상 간 첫 회담 현지서 브리핑

"전체적으로 화기애애하고 허심탄회 한 분위기

기대감과 확신 재확인, 한반도 문제 해결 의지"

[서울=뉴스핌] 김종원 선임기자, 박찬제 기자 =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25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 결과와 관련해 "한미 경제·통상 안정화와 한미동맹 현대화, 새로운 협력 분야 개척의 3가지 목표 모두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위 실장은 이날 밤 미국 워싱턴DC 현지 프레스센터에서 강훈식 비서실장·김용범 정책실장과 함께 대통령실 3실장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의 첫 한미 정상회담에 대한 언론 브리핑을 했다.

위 실장은 언론에 공개되지 않은 업무오찬 회담 내용과 관련해 "방미 전에 한미 경제·통상 합의 안정화, 한미동맹 현대화를 국익에 맞게 하고, 새로운 협력 분야 개척도 놓치지 않겠다고 목표로 잡았는데, 이번 회담에서 3가지 목표 모두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전체적으로 한미동맹 발전과 통상·안보에 대한 기대감과 확신 재확인,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의 이 대통령에 대한 미일 연쇄 방문 의의와 한반도 문제 해결에 대한 두 정상의 의지를 표명했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두 정상은 성공적인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참석 의사 표명과 함께 국내 정치 상황에 대한 미 측 인식 등 다양 주제에 대해 언론에 정상들이 직접 설명했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소인수 회담을 비롯해 언론 공개 회담에서 봤듯이 전체적으로 화기애애하고 허심탄회 한 분위기 속에서 회담이 진행됐다"면서 "이 대통령과 방미단에 대한 배려가 눈에 많이 띄었다"고 전반적인 회담 분위기를 전했다.

위 실장은 "소인수 회담과 약식 언론 질의 응답 50분, 그리고 업무오찬 80분까지 전반적으로 2시간 반 가까이 함께 했다"면서 "오찬 말미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배려로 보이는 데 명패와 메뉴에 전부 서명해서 직접 줬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업무오찬 후에도 백악관 기념품 숍으로 가서 선물 고르게 하고 선물에도 다 서명하는 배려를 보여 줬다"면서 "두 정상은 친교 시간을 갖고 다시 만나길 기원하며 회담을 마쳤다"고 전했다.

경제·통상 분야와 관련해 위 실장은 "먼저 세부 협약이 남아 있다"면서 "다만 전체적으로 투자와 구매, 제조 협력 분야 등에 정상 차원의 논의가 있었고, 앞으로 이런 후속 논의가 진전될 것이기에 경제·통상 안정화 분야에서 한 단계 더 진전됐다"고 평가했다.

한미동맹 현대화와 관련해 위 실장은 "일정 부분 진전이 있었다"면서 "동맹 발전 방향으로 국방 역량 강화를 비롯해 다양한 방안에 대해 협의가 있었고 공감대를 이뤘다. 이 대통령이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연설에서도 언급했듯이 국방비 증액 등 한반도 안정을 지키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방위비 분담금 증액과 관련해 위 실장은 "SMA(방위비 분담 특별협정)를 재건하자, SMA를 다시 오픈해서 (방위비 분담금을) 늘려보자 하는 논의는 없었다"고 말했다. 다만 위 실장은 "한국 국방비 증액에 대한 논의는 있던 것이고 그것도 한국이 주도한 것으로 무기 구매도 있을 수 있고 국방력 개선도 있을 수 있지만 SMA와는 관련이 없다"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주한미군 기지 소유권 언급과 관련해 위 실장은 "그 배경을 좀 더 알아봐야 한다"면서 "주한미군 부지는 우리가 공여하는 것이고 대여는 아니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지대를 받는 것도 아니고 소유권도 아니다. 무슨 말인지 헤아려보고 답을 해야 할 것 같다"면서 "소유권 주고받는 개념은 아니다. 주둔군 지위협정(SOFA)협정에 따르면 시설과 권역 공유한다고 돼 있다. 권역은 땅에 대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협력 분야 개척과 관련해 위 실장은 "대표적으로 조선 분야 역량인데 미국과 조선 협력을 늘려 가겠다는 데 공감했다"면서 "내일(26일 현지시간) 필리조선소 방문도 이런 새로운 영역 개척의 일환이다. 원자력 협력도 정상 간 의미 있는 논의했고 추가적으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 실장은 "한반도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대화 재개 등 다양한 논의도 했다"면서 "앞으로도 긴밀한 협의가 진행될 것 같다"고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일본을 거쳐 방미한 것에 대해 위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도 한일 잘 지내는 게 한미일 협력 포함해 역내 평화 안정 이루는 데 핵심적 요소라고 하고 한국의 이런 움직임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전에 소셜미디어에 올린 이슈와 관련해 위 실장은 "일부분은 언론 공개 질의 응답에서 말했다"면서 "이 대통령이 직접 설명했고 이후 오찬에서도 간략하게 다뤄졌는데 별문제 없어 일단 정리된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훈식 비서실장은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과 만나 한미 비서실장 간의 '핫라인'을 구축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강 실장은 한미 정상의 비서실장 간 핫라인 가동에 대해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문제 논의를 하기 위한 핫라인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강 실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신뢰를 받는 와일스 비서실장이 적합하다고 판단했다"며 "2주 전부터 (만남을) 추진했다"고 말했다. 강 실장은 와일스 실장과의 핫라인 구축 필요성을 상당히 오래전부터 느꼈다고도 밝혔다.

강 실장은 "지난 10일 고위당정대 협의 당시 '이번 한미 통상협상 과정에서 미 정부 핵심 정책 결정권자와 논의되는 긴밀한 소통·협력 채널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강 실장은 "그때 이미 양국의 비서실장 간 회담 추진 중이었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한미 비서실장 간 만남에 대해 강 실장은 "처음부터 만남에 대해선 긍정적이었지만 비공개 원칙을 미국 측에서 주문했다"며 "제가 일정과 안건, 시간에 대해 여러 사항도 불확실한 것이 있었다. 1주일 전 마지막으로 와일스 실장과 면담 일정이 확정됐다"고 부연했다.

강 실장은 "그 결과 오늘(25일) 오전 10시 30분부터 40분간 백악관에서 와일스 비서실장을 따로 만나게 됐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 직전 소셜미디어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 숙청 또는 혁명같이 보인다"고 글을 올렸다. 이와 관련해 강 실장은 "와일스 실장과의 면담에서 한국 정치 상황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킬 수 있도록 얘기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 문제에 대한 정확한 사실 관계를 보고해 달라는 요청도 했다"고 밝혔다.

kjw8619@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