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이가 들면 뇌신경 기능 저하가 근육 약화의 시발점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뇌 운동신경계의 노화 억제가 근육 유지와 운동능력 보호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근감소증 치료 전략에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연구재단은 경북대학교 김상룡, 이준영 교수와 남영표, 김세환 박사, 한국뇌연구원의 김재광 박사 연구팀이 노화로 인해 흑질-선조체 도파민 신경계 기능이 떨어지는 현상이 근육량 감소와 관련이 깊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3일 밝혔다.
이와 관련된 신경계의 노화를 억제하면 노년층의 대표적인 운동장애인 근감소증을 늦출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입증한 것이다.
그동안 이 신경계가 운동능력과 긴밀히 연결돼 있다는 사실은 알려졌지만 노화와 근감소증의 직접적 원인인지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부족했다. 연구진은 이를 실험으로 증명했을 뿐만 아니라 신경계의 노화 방지를 통해 고령층의 운동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특히 노화에 취약한 흑질-선조체 도파민 신경계에 주목해 노령 생쥐 모델을 대상으로 항노화 인자인 시르투인3의 감소 현상을 찾아냈다. 이후 도파민 신경세포에 시르투인3를 증가시키는 유전자 전달 기법을 적용해 미토콘드리아 기능 개선과 노화 관련 단백질 감소를 이끌어냈다.
시르투인3가 활성화된 생쥐는 운동능력 저하가 줄었고 근육량도 유지됐다. 신경과 근육이 연결되는 신경근접합부 역시 보호되는 효과를 보였다.
김상룡 교수는 "이번 연구가 나이 들수록 누구나 겪는 운동기능 저하와 근감소증의 뿌리가 뇌 신경계의 노화에 있을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향후 뇌 신경계 보호 기반의 맞춤형 항노화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 및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세계적 학술지 ‘신호전달 및 표적 치료’ 5월호에 실렸다.
[전국매일신문] 대전/ 정은모기자
J-em@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