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국민들이 지급수단 중 신용카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에서 결제할 때도 신용카드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4년 지급수단 및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지급수단 만족도는 신용카드(75.5점), 체크카드(72.9점), 현금(64.4점), 모바일 카드(64.2점), 선불충전금(54.5점) 순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3500명을 대상으로 편리성, 안전성, 수용성, 비용 등을 설문 조사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일상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지급수단도 신용카드였다. 46.2%(건수 기준)로 제일 많았고 체크카드(16.4%), 현금(15.9%), 모바일 카드(12.9%)가 뒤를 이었다.
최근 1년 내 해외에서 결제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은 실물카드, 해당국 현금, 모바일 결제 순으로 많이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실물카드로 해외 결제 시 신용카드 사용 비중이 89.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근 1년 내 해외에서 모바일기기로 결제한 경험이 있는 경우 일본(42.8%), 동남아시아(24.9%) 등에서 가장 많이 이용했다고 응답했다.
연령별 선호 지급 수단은 차이를 보였다. 20~30대는 모바일 카드, 40~50대는 신용카드, 60대 이상은 현금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문, 안면 등 생체정보를 지급에 이용하는 생체 인증의 경우 연령대가 높을 수록 이용 의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모바일 금융 서비스 이용은 꾸준히 늘고 있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81.3%가 최근 1개월 내에 모바일 금융 서비스(은행, 증권사, 카드사 등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2021년 조사 때보다 15.9%포인트 늘었다.
한편 비현금 지급 수단 이용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대면 거래에서는 여전히 현금이 보편적인 지급 수단 중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관계자는 “국민들은 편리성 등을 감안해 신용카드를 가장 선호한다고 응답했다”며 “모바일 금융 서비스는 디지털 기술 발달과 서비스 다양화로 이용이 꾸준히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