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 14세, 세종대왕, 나폴레옹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모두 통풍(痛風)을 앓았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과거엔 고기와 술을 즐길 수 있던 부유층이 주로 걸려 ‘왕의 병’이라 불렸지만, 지금은 누구나 언제든 겪을 수 있는 질병이 됐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환자 수는 10년 새 1.7배 넘게 늘었는데요. 통풍, 관절염 등을 20년 넘게 치료해 온 윤종현 교수(은평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는 “최근엔 초등학생, 중학생 환자도 병원을 찾는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뉴스 페어링’은 윤 교수와 함께 통풍을 제대로 알고 관리하는 법을 알아봤습니다. 요산이 과도하게 축적돼 발생하는 통풍은 ‘악마의 통증’으로도 알려져 있는데요. 윤 교수는 “단순한 관절 질환이 아니다”라고 강조합니다. 통증 뒤에 숨은 통풍의 본질을 주목해야 한다는 건데요. 오랫동안 방치하면 뼈가 녹아내리는 건 물론 생명과 직결되는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통풍에 걸리면 우리 몸엔 대체 어떤 일이 벌어지는 걸까요?
혈중 요산 수치가 높더라도, 극심한 통증인 통풍 발작이 생길 확률은 10%에 불과합니다. 당장 아프지 않으면 문제가 없는 걸까요? 한 번 통풍 발작이 나타나면 70% 넘게 재발하는데요. 그렇다면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 짚어봤습니다. 많이 알려진 맥주뿐 아니라 건강식이라 알려진 몇 가지 음식도 통풍엔 위험하다는데요.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 명쾌하게 정리했습니다. 약 복용까지 무용지물로 만드는 최악의 습관은 뭘까요?
윤 교수는 “약을 제대로 먹지 않아서 고통을 키우는 환자가 있다”고 했는데요. 평생 약을 먹어도 괜찮을까. 통풍 약에 대한 오해와 진실도 살펴봤습니다. 놓치면 안 될 통풍 치료의 ‘골든타임’은 언제일까요, 자세한 내용은 팟캐스트 방송으로 확인하세요.
이런 내용을 담았어요
📌초등학생 환자 등장...젊은층 취약해진 이유
📌단순 관절 질환 아니다...생명 직결된 합병증
📌전조 증상도 없다...통풍 치료의 '골든 타임'
📌평생 약 먹어야 한다고? 통풍약 오해와 진실
📌이 습관 안 고치면 약 복용 소용 없다
🎤진행 : 최하은 기자
🎤답변 : 윤종현 교수(은평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통풍은 어떤 병이고 왜 생기는 건가?
통풍은 요산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과도하게 축적돼 생기는 질병이다. 요산은 퓨린(purine)이라는 물질이 체내에서 대사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이다. 우리 몸에서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우리 몸에 꼭 필요한 물질일 것이라고 추정한다. 요산은 대부분은 소변으로 배출되지만, 농도가 일정 이상 높아지면 결정 형태로 체내에 쌓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