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화벌이를 위해 중국 원양어선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들이 착취당하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2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영국 환경단체 ‘환경정의재단’은 중국의 참치잡이 원양어선에서 일한 필리핀·인도네시아 선원 19명과 인터뷰해 이런 내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스티브 트렌트 재단 대표는 “북한 선원들은 언제 어떻게 일할 것인지 선택할 자유가 없다”며 “강제로 배에 끌려가 갇혀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모리셔스·소말리아·호주 인근에서 작업하는 중국 원양어선은 정기 입항하지만, 북한 선원들은 다른 배에 옮겨타 입항하지 않는다. 해당 국가의 출입국관리소가 북한 선원을 발견하면 중국 어선에 법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다.
실제로 2022년 12월 모리셔스에서 중국 어선 선장과 북한 선원 6명이 체포되기도 했다. 앞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2017년 북한의 핵 개발을 제재하기 위해 각국에 파견된 북한 외화벌이 노동자를 2019년 말까지 송환하도록 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북한 선원들은 휴대전화 소지도 금지돼 몇 년간 가족들과 연락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8년간 땅을 밟지 못한 북한 선원과 함께 일한 적이 있다는 증언도 나왔다.
또 인도네시아 선원은 한 달에 약 330달러(약 47만원)를 받았지만, 북한 선원들 월급은 바로 북한 정부로 송금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부 어선은 북한 선원에게 월급에서 50달러(약 7만원)를 떼어주는 것으로 전해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어선 선원 대부분이 여권을 빼앗긴 채 하루 5∼6시간 자면서 일하는데 그 중에서도 북한 선원은 경력이 길고 가장 숙련됐다. 북한 선원들은 또 최장 10년간 원양어선에서 일하면서 동영상으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설을 보기도 하고, 정자세로 국기를 게양한 채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4일 브리핑에서 보고서에 거론된 구체적 상황을 모른다며 “원칙적으로 지적하고 싶은 것은 중국은 중국 원양어업 활동에 현지 법규와 국제법 관련 규정을 준수하라고 요구한다는 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