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서 한끼 떼우려고 했는데…도시락이 왜 이래" 日 쌀값 폭등에 상품도 바뀐다

2025-05-11

일본 정부의 비축미 방출에도 급등한 쌀값이 잡히지 않는 가운데 편의점 주먹밥과 도시락까지도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8일 교도통신과 아사히신문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일본 농림수산성은 지난달 21∼27일 전국 슈퍼에서 판매된 쌀 5㎏ 가격은 전주 대비 13엔(한화 약 126원) 오른 4233엔(한화 약 4만1000원)으로 집계됐다. 17주 연속 쌀값이 오른 셈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까지 세 차례에 걸쳐 비축미 방출을 위한 입찰을 실시했지만, 아직 쌀값 인하 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3월부터 비축미가 5㎏당 3500엔(약 3만4000원) 전후에 팔리고 있다"면서도 "유통이 정체돼 4월 13일까지 슈퍼 등 소매점에 공급된 비축미는 전체의 1.4%에 머물렀다"고 보도했다.

아울러 닛케이의 보도에 따르면 쌀값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슈퍼와 편의점 음식, 도시락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편의점 체인 패밀리마트는 쌀값 급등에 대응해 주먹밥에 둘렀던 김을 없애는 방법으로 원가를 낮추고 있다. 이 업체는 내년 3월까지 김 없는 주먹밥 품목 수를 기존보다 많은 10개 전후로 늘릴 예정이다.

또 다른 편의점 체인인 로손은 쌀밥과 면을 함께 먹을 수 있는 도시락을 선보였다. 세븐일레븐은 아예 밥과 내용물을 모두 늘린 고급 주먹밥을 비싼 가격에 출시하는 고급화 전략을 펴고 있다.

슈퍼마켓 체인 세이조이시이는 밥에 보리나 잡곡을 섞고 있고, 도큐스토어는 면류 도시락 비중을 늘렸다.

한편,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이날 쌀값 급등과 관련해 집권 자민당 오노데라 이쓰노리 정무조사회장에게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지시했다.

일본이 미국과 관세 협상에서 이른바 '교섭 카드'로 검토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산 쌀 수입 확대 방안은 자민당 내 저항이 강해 실제 활용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쌀 수입 확대는 미국이 지적한 교역 불공정성을 개선하고 쌀값 급등으로 불만이 쌓인 국내 민심을 달랠 수 있는 '일석이조 방안'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자민당이 개최한 미국 관세 조치 관련 종합대책본부 회의에서는 쌀을 대두(콩), 옥수수와 같이 취급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의 주장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