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리 장르는 정답을 가정한다. 특히 수수께끼나 퍼즐 풀이 성격이 강한 고전적인 미스터리는 작품 전체가 독자를 향한 퀴즈로 만들어지곤 했다. 자, 범인은 이 중 누구일까요? 정답은 다음 페이지에 밝혀집니다. 독자의 기대를 배신하지 않으려면 문제는 물론 정답도 그럴듯해야 한다. 미스터리 작가에게는 두 가지 과제가 생긴다. 오답을 삭제할 것. 훌륭한 정답을 제시할 것. 탐정의 대명사인 셜록 홈스는 이렇게 말했다. 불가능을 소거하고 남은 것, 아무리 믿기 어려워도 그것이 바로 진실이다. 추리로 걸러내고 마지막으로 남는 하나가 진실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홈스를 만들어낸 저자 코넌 도일에게서 이름을 딴 명탐정 코난의 말이 더욱 간결하고 대중적이다. “진실은 언제나 하나!”
미스터리를 읽다 보면 각종 진실을 만난다. 밀실 살인 트릭만 해도 한 트럭이다. 장르의 전제를 들쑤시는 의외의 정답도 마찬가지다. 사실은 탐정이, 화자가, 피해자가, 용의자 전부가 범인이었다 등은 모두 일찌감치 애거사 크리스티가 사용했다. 미스터리 독자의 의표를 찌르기는 쉽지 않다. 독자가 범인이라는 소설도 이미 존재한다. 미스터리라 할 것이 없다는 종류의 ‘안티 미스터리’도 선배님들이 진작 썼다. 내가 좋아하는 건 카렐 차페크의 소설이다.
차페크는 ‘로봇’이라는 단어가 최초로 등장하는 <R.U.R.>을 포함해 SF로 유명하지만, 미스터리 잡지에 소설을 연재하기도 했다. 흥미진진하게도 그의 미스터리 소설은 대개 안티 미스터리에 해당한다. 차페크는 미스터리에는 정답이 존재한다든가, 단서를 통해 이를 찾을 수 있다는 기대 자체를 공격한다. 의미심장한 비밀 따위는 없다. 수수께끼로 보였던 사건은 그저 평범하고 어리석은 인간들이 저지르는 착각, 오해, 실수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차페크의 <잃어버린 편지>는 매우 중요한 편지가 감쪽같이 사라진 사건을 다룬다. 편지를 수색하기 위해 막대한 인력이 투입된다. 그러나 편지는 사실 장관 자신이 깜빡 잃어버렸을 뿐이다. 장관의 아내는 그가 밤에 서재에서 일하고 있었으니 서재를 확인하라고 말해준다. 장관은 자기가 보던 책에 얌전히 꽂혀 있던 편지를 발견한다. 허무하고 우스꽝스러운 해프닝이다.
에드거 앨런 포의 <도둑맞은 편지>를 떠올려보면 더 재미있다. 영미권 탐정의 시초로 꼽히는 ‘뒤팽’이 활약하는 작품이다. 작중에선 장관이 편지를 훔친다. 경찰은 편지를 찾아 장관의 집을 샅샅이 수색한다. 하지만 수학자이자 시인으로서 발상을 전환할 줄 아는 장관은 경찰이 절대 찾지 못하는 곳에 편지를 숨겼다. 그의 서재에 놓인 편지보관함이다. 사람은 너무나 명확히 보이는 대상에는 오히려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심리적 맹점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뒤팽은 날카롭고 특별한 관찰자이기에 장관의 속내를 꿰뚫어 본다. 그의 활약은 그야말로 명탐정답다. 하지만 우리가 실제로 맞닥뜨리는 사람들의 모습은 <도둑맞은 편지>보다는 <잃어버린 편지> 쪽이다. 기발한 범죄나 명쾌한 추리는 없다. 미스터리라 할 만한 사건, 진실이라 부를 만한 정답도 없다. 여기서 제일 신이 나는 부분은 차페크의 소설도 미스터리로 쓰였고, 미스터리 독자에게 읽혔다는 점이다. 역시 다들 한 방 먹길 좋아해. 홈스 욕하는 소설치고 미스터리 아닌 게 없었다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