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안보

◆HMM 부산 이전
이재명=“부산을 해운 항만의 중심 도시로 만들어야 한다. HMM을 부산으로 보내겠다.”
이준석=“HMM의 전신이 현대상선이다. 2000년대 초 대북사업을 하다가 2억 달러 정도의 자금이 사용돼 기업이 휘청거렸다. 요즘 같으면 대북송금으로 크게 문제가 될 일이다. 쌍방울 대북송금 때문에 이재명 후보가 굉장히 곤란을 겪고 있다.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될 것으로 알고 계실 거다. 대통령이 돼도 미국 입국이 제한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런 약점을 가만히 두겠나.”
이재명=“대북송금에 관여했다는 것은 아무 근거가 없다. 저들이 주가조작을 하다가 수사를 받으니까 도박 자금으로 썼다는 설도 있다.”
◆사드(THAAD)
이준석=“이재명 후보는 ‘사드는 미국 방어용’이라고 한 적이 있다. 사드는 종말 단계에서 미사일을 요격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 떨어지는 것을 막겠단 의지다. 중국이나 음모론자들 이야기대로 사드가 미국 방어용이라고 했다. 아직 그런 입장인가.”
이재명=“한국의 독자적인 미사일 방어체계로 방어하는 것이 맞다. 당시엔 북한이 고고도 미사일을 쏘겠느냐, (사드가) 필요하겠느냐 이런 논란이 현실적으로 있었다. 지금은 이미 배치가 끝났기 때문에 이 문제를 논란거리로 만드는 건 외교·안보 전략상 바람직하지 않다.”
◆美 방위비 분담금
권영국=“트럼프가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요구하면 올릴 수 있나.”
김문수=“올릴 수도 있지만 가변적이다.”
권영국=“작년 10월에 2030년까지 적용되는 방위비 분담금 협정을 끝냈다. 트럼프가 요구하면 다시 협상이 가능하다는 건 해달라는 대로 다 해주겠다는 건가.”
김문수=“미국과 한국의 근본 이익이 일치한다는 것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납득시켜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많은 부분에 대해 확신을 심어드릴 계획이다.”
◆북핵 대응
이재명=“우리가 핵무장해야 한다, 이런 입장이지 않나.”
김문수=“핵 균형을 이뤄야 한다. 한·미 동맹이 가장 중요한 축이고, 한·미 동맹 범위 내에서 핵무장을 할 수 있으면 해야 한다. 핵무장을 한다고 동맹이 깨지면 핵무장의 효과가 없다.”
이재명=“미국과의 핵공유, 전술핵 재배치를 공약했다. 미국은 핵공유를 안 한다는 게 원칙인데, 그런 공약 실행이 가능한가.”
김문수=“실행 가능하다. 핵 공유의 방식도 다양하다. 핵잠수함 등 여러 가지를 한·미 간 정상회담을 통해 잘 추진하고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재명=“전술핵을 한반도에 재배치하면 북한에 비핵화를 요구할 수 없다. 한반도 비핵화는 대한민국의 합의된 정책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