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94.2% '숏폼' 콘텐츠 이용...보호정책 강화 필요

2025-04-01

여가부, 2024년 청소년매체이용 실태조사 발표

언어폭력 22.6%로 최다...학교 내 폭력 문제 심각

성인용 영상물 이용률은 21%p 감소

[서울=뉴스핌] 김보영 기자 = 최근 1년간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이용한 매체는 '짧은 영상'(숏폼) 콘텐츠로 이용률(94.2%)이 가장 높았고, 생성형 AI도 청소년의 절반 정도가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4년 청소년 매체 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이용한 매체는 숏폼 콘텐츠로, 이용률이 94.2%에 달했다. 이어 인터넷·모바일 메신저, 인터넷 개인방송 및 동영상 사이트가 차지했다.

성인용 영상물 이용률은 26.5%, 성인용 간행물 이용률은 11.2%로 확인됐다. 이는 직전 조사인 2022년과 비교할 때 각각 21%포인트, 12.9%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청소년 중 개인정보 피해를 경험한 비율은 ▲'인터넷에서 잘 모르는 사람이 개인정보를 요구함' 9.3% ▲'친구가 동의 없이 SNS에 사진이나 개인정보를 공개한 경험 있음' 6.5%라고 응답했다. 친구가 정보 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경우는 이전 조사에서 12.8%에서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온라인 도박 경험률은 ▲ '카드·화투 게임'이 2.7% ▲ '온라인 도박게임' 1.9% ▲ '인터넷 스포츠 베팅' 1.0% ▲ '인터넷 복권 구입' 0.7%로 나타났다.

소액대출서비스 이용률은 3.1%로, 전 조사인 3.4%보다 소폭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중 1~2회 이용이 51.4%를 차지했으며, 1회 이용 금액은 5만원 미만이 65.8%로 가장 많았다.

최근 1년간 폭력 피해 비율은 22.6%, 성폭력 피해 비율은 5.2%였다. 폭력 종류 중 언어폭력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성폭력은 말이나 눈짓에 의한 성희롱이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폭력을 행사한 사람 중 62.1%가 같은 학교 친구였고, 성폭력의 경우 친구가 60%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잘 모르는 사람에 의한 피해는 직전 조사와 비교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고등학생 음주 경험률은 12.1%, 흡연 경험률은 2.4%로 이전 조사에 비해 모두 감소했으며, 아르바이트 경험률은 6.2%에 달했다. 근로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는 36.4%로, 이전 조사인 49.4%보다 10%포인트 이상 줄어들었다.

이 밖에도 최근 1년간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 업소를 이용한 경험에 대해서는 조사 대상 청소년(중·고등학생) 중 '룸카페'를 이용했다는 응답이 12.6%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최근 1년간 의료용 마약성 진통제와 의료용 마약류 식욕억제제를 복용·사용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각각 0.3%로 조사됐다. 마약성 진통제의 경우 '다른 사람(성인)에게 얻어서'라는 응답이 31.8%로 가장 높았고, 마약류 식욕억제제는 '친구 또는 선배에게 얻어서'라는 응답이 30.6%로 가장 높았다.

황윤정 여가부 청소년가족정책실장은 "청소년들이 다양한 유해 요인에 노출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호 정책을 강화해 안전한 환경에서 성장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boyu@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