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日 충돌] 급속 냉각기류 속 반사이익 기대① '6대 A주 투자방향'

2025-11-18

급격하게 악화된 중일 관계 국면에 A주 구조적 변화

투심 냉각 속 반사이익 기대 '6대 투자방향은' 상승세

중일 갈등 격화 속 수혜주로 떠오른 6대 키워드 진단

이 기사는 11월 18일 오후 4시3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최근 며칠 새 급격하게 악화된 중일 관계 갈등 국면은 이번 사태는 단순한 외교적 갈등을 넘어 시장 전반의 심리와 자금 흐름에 영향을 미칠 구조적 변화를 불러왔다.

지정학적 불안감에 위험선호도가 축소되면서 중국증시 전반이 하락한 가운데 일부 특정 섹터는 일본과의 갈등에 따른 수혜주로 평가되며 상승세를 연출했다.

투자 측면에서 관심은 중일 갈등 국면 속 투자기회가 확대될 수 있는 특정 산업에 집중되고 있다.

중국의 대일 강경 대응 기조가 이어질 경우, 군수·방산과 수산물 등 일부 수혜 섹터는 단기적 시장 반응을 넘어 구조적 성장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불러온 경제 흐름의 전환 속에, 이러한 분야들은 새로운 핵심 투자방향으로 다시금 주목 받고 있다.

◆ 양국 관계의 향방, 일본에게 넘겨진 '공'

최근 며칠 사이 중일 관계는 유례없는 긴장 국면에 접어들었다.

지난 7일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일본의 자위대 투입 가능성' 발언 직후만해도 중국 측은 일본의 움직임을 살피는 상황이었으나, 일본측에서 발언 철회의 기미가 보이지 않자 중국은 최근 며칠 사이에 강경 대응으로 태세를 전환했다.

중국은 고위급 관계자 발언에서부터 관영매체의 논평에 이르기까지 일본에 대한 실질적인 반격 조치에 나설 수 있음을 연일 강조하고 있다.

지난 14일 중국 국방부 장빈(蔣斌) 대변인은 "일본이 무모한 행동을 감행한다면 머리가 깨지고 피를 흘리며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는 강경한 메시지를 발표했고, 같은 날 우장하오(吳江浩) 주일 중국대사는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을 초치해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발언에 대해 공식적으로 항의했다.

같은 날 저녁 중국 외교부는 중국 국민들에게 "가급적 일본 방문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다. 이는 단순한 조언이 아닌 중국 정부의 정세 판단을 반영하는 강력한 신호로 해석된다.

관영언론의 논조도 이전과 달리 날카롭다.

중국 관영매체 환구망(環球網)은 '일본은 중국의 경고를 절대 오판하지 말라'라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현 상황에 대한 일본 측의 잘못된 판단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중국 관영 중국중앙TV(CCTV) 산하의 뉴스 전문 SNS 계정인 위위안탄톈(玉淵潭天)은 "중국은 이미 일본에 대한 실질적인 반격 행동에 나설 준비를 마쳤다"고 언급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 또한 <어떤 독한 땅'에서 어떤 '독한 싹'이 자라는가>라는 평론을 통해 일본 정치권을 비판하며 장기적 대립이 불가피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처럼 중국은 추가적 보복조치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일본 정부의 반응을 주시하는 분위기다. 양국 관계의 향방을 결정지을 공은 이제 일본 정부에게로 넘어간 것으로 보여진다.

일본 현지 매체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다카이치 총리 측근은 "중국의 온도감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면서 위기감을 드러낸 동시에 "다카이치 총리도 중국과의 사태를 확대할 의도는 없다. 냉정하게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한 대응에 집중하는 것이 총리 측 인사들의 공통된 입장"이라고 전했다.

◆ '중일 갈등' 속 수혜 기대되는 '6대 영역'

중일 갈등 속에 위험회피 심리가 확산되며 최근 중국 본토 A주 시장의 상승세가 눈에 띄게 꺾인 가운데, 중국의 보복조치로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일부 산업 섹터를 중심으로 단기적인 상승모멘텀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기준 중국이 일본으로부터 수입한 물품의 비중을 살펴보면, 기계전자 품목이 48.84%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화학품∙화공품(13.08%), 금속제품(12.41%), 운수설비(9.15%), 정밀기기(16.52%)의 순이었다.

일본 의존도가 높은 영역을 중심으로 국산 대체가 확대되며 관련 산업과 기업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현지 전문기관이 진단한 대표적 수혜 섹터는 다음의 6가지로 압축된다.

1. 국산 대체 기술주 : 반도체 산업체인

중일 갈등이 심화될 경우 '국산화로의 대체'는 가장 큰 관심을 받는 핵심 테마가 될 전망이다.

특히 반도체 산업이 그 중심에 있다. 일본은 중국의 반도체 장비 최대 수입국이다. 일본의 포토레지스트와 고순도 실리콘 등 주요 소재의 대중 수출 비중은 매우 높다.

중국 해관총서(관세청에 해당)에 따르면 2017~2024년까지 일본은 중국의 최대 반도체 장비 수입국으로, 해당 기간 전체 반도체 장비 수입액 중 일본 수입액이 평균 32%를 차지했다. 수입액 비중 기준으로 2017년이 가장 높았고 최근 4년간 비중은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30%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 3분기 중국이 일본으로부터 수입한 반도체 장비 총액은 33억31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1%, 전분기 대비 8.6% 늘었다. 2020년 1분기부터 2025년 2분기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매년 4분기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액이 한 해 전체 분기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해왔다.

중일 관계 악화는 국내 관련 기업들로 하여금 기술적 자립에 대한 압박을 한층 더 부가하는 요인이 되고, 이에 따라 반도체 소재 기업들이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中日 충돌] 급속 냉각기류 속 반사이익 기대② '6대 A주 투자방향'>으로 이어짐.

pxx17@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