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최인혁 기자]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와 김문수 후보가 24일 2차 경선 토론에서 12·3 비상계엄 선포 이유로 지목됐던 ‘부정선거’를 주제로 맞붙었다. 안 후보는 부정선거론을 부정한 반면 김 후보는 부정선거 가능성을 주장했다.
두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채널A 스튜디오에서 일대일 맞수 토론을 벌였다. 토론은 주도권을 쥔 안 후보가 김 후보에게 부정선거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으로 시작됐다.
김 후보는 “부정선거가 있다. 우리나라의 선거 관리가 부실하다. 특히 사전투표 제도는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면서 “그런데 민주당이 공직선거법을 안 고쳐준다. 민주당이 선거법을 고치는데 반대하고 있다”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 관리 문제와 부정선거 가능성을 지적했다.

반면 안 후보는 ‘부실 선거’에 대한 지적은 수용하면서도 부정선거에는 선을 그었다. 안 후보는 “관리 부실 가운데 만에 하나 부정선거 증거가 발견된다면 거기에서부터 시작해서 모든 일들이 풀려나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런 일이 안 생긴다면 명백하게 부정선거라고 말하기가 굉장히 어렵다”면서 부정선거론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두 후보는 부정선거의 원인으로 지적된 사전투표 제도에 대해서도 입장 차이를 보였다.
김 후보는 "사전투표는 많은 문제가 있고 선거법을 위반하는 내용도 있다. 선거 관리 자체도 부실하다"면서 "국민이 믿지 못하는 부패하고 비리 많은 선관위 때문에 부정선거론이 증폭된다고 본다"면서 "투표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사전투표를 없애는 것이 좋다고 본다"며 사전투표 폐지를 주장했다.
안 후보는 부정선거가 있었다면 제20대 대통령선거와 2022년 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승리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반박하면서 "사전투표는 많은 사람들이 권리투표권을 발휘하기 위한 방법이다. 우리에게 주는 좋은 효과가 더 많다고 생각한다. 부정선거에 대한 것들이 있지만 기술적으로 풀 수 있는 문제다"면서 사전투표 폐지에 반대했다.
그러면서 안 후보는 부정선거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선거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