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전철 밟지 말자…공공부터 쇼핑몰까지 DR 타진 급증

2025-11-02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가 발생한 지 한 달이 지난 가운데 공공부터 민간 기업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재해복구(DR) 체계 도입 확산 조짐이 불고 있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월 한 달간 공공을 비롯해 제조·이커머스(쇼핑몰) 등 다양한 업계에서 DR 관련 문의가 증가했다.

전자신문이 국내 주요 국내 주요 IT서비스·클라우드 기업 10여곳에 문의한 결과 업체당 화재 이전 대비 DR 관련 문의가 최소 두 배 이상 늘었다.

한 클라우드 기업관계자는 “DR 관련 문의나 실제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화재 이전 대비 10배 이상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그는 “쇼핑몰, 온라인 게임 등 서비스 중단 시 고객 이탈과 매출 손실이 즉각적으로 발생하는 개인간거래(B2C) 중심의 민간 기업에서 문의가 많이 늘었다”며 “전 산업 분야에 걸쳐 DR 시스템 재점검의 필요성이 높아졌음을 확인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 IT서비스 기업 관계자는 “대기업의 경우 이미 DR 체계를 갖춘 곳이 많지만 미흡한 부분을 다시 점검하고 대비하지 못한 시스템 등이 있는지 확인하는 차원에서 컨설팅을 문의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가장 문의가 많은 영역은 공공이다. 중앙부처를 비롯해 공공기관, 지자체 등 다양한 곳에서 문의가 이어진다.

또 다른 클라우드 기업 관계자는 “행정안전부가 곧 DR 관련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예정으로 알려지면서 공공이 이에 대비해 예산 확보 등 사전 준비를 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고 말했다.

실제 정부가 이달 말 발표할 공공 IT 인프라 개편방안(국정자원 화재 대책)에는 DR를 비롯해 이중화, 클라우드 네이티브 등 다양한 IT 인프라 개선안과 지원책 등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는 이 같은 흐름과 정부 정책에 발맞춰 내년에 관련 프로젝트가 다수 나올 것으로 전망한다.

차제에 정보기술(IT) 인프라 전반에 DR 체계를 제대로 확립하고 이를 위한 가이드라인, 예산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일시적인 관심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업계 관계자는 “사고 이후 늘어난 DR 시스템 구축 및 고도화에 대한 관심만큼 내년도 예산이 실제로 충분히 편성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제대로 된 DR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도 필수”라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