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3분기 독일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0.0%로 제자리걸음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연방통계청은 30일(현지 시간) 잠정 집계에서 “설비 투자가 긍정적으로 증가한 반면 수출은 이전 분기보다 감소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독일 경제는 올해 1분기 미국의 고율 관세 시행을 앞두고 수출이 급증한 덕분에 0.3% 성장했으나 2분기에는 -0.2%로 돌아섰다.
연간 성장률은 2023년 -0.3%, 지난해 - 0.2% 수준을 나타냈다. 독일 연방정부와 분데스방크(중앙은행) 모두 올해 경제성장률이 0.0%에 머물 것으로 예상하며 3년 연속 역성장은 가까스로 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독일 경제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회복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장기 침체 국면에 빠졌다.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에너지 가격 급등이 경제의 발목을 잡았고 올해 들어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이 자동차 등 수출산업에 타격을 주고 있다. 지난 5월 출범한 새 연립정부는 국방과 인프라에 천문학적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으나 경기부양 효과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일간 쥐트도이체차이퉁(SZ)은 “2019년과 비교해 독일 경제 생산량은 거의 늘지 않았으나 같은 기간 미국은 13%, 폴란드는 15%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또 “최근 12분기 중 10분기 경제성장률이 0.0% 또는 마이너스(-)였다”며 “독일은 이렇게 긴 침체기를 겪은 적이 없다. 전례 없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AI MY 뉴스] 암호화폐 강세장? 금리 인하·무역 완화 시 연내 가능성](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