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사업지원TF(현 사업지원실)가 그룹 계열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사에 개입했다는 주장이 노조 측에서 나왔다.
삼성그룹 초기업노동조합 삼성전자지부는 10일 홈페이지에 올린 게시물에서 “사업지원TF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모든 인사관리를 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논란은 지난 6일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사팀 공용 폴더가 내부망에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상태로 노출되면서 시작됐다. 폴더에는 주민등록번호, 연봉, 인사고과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자료와 직원 관리를 위한 자료가 포함됐다.
삼성전자지부는 사업지원TF와 바이오로직스 인사팀장의 메신저 기록 등을 근거로 삼성전자 사업지원TF가 그룹 계열사 인사를 관리하고 있다고 봤다. 지부가 공개한 메시지를 보면 바이오로직스 인사팀장이 사업지원TF 관계자에게 “사장님께서 올해 우수인력 보상은 강화하고 저성과자는 과감하게 하위평가를 확대하는 성과관리 기조를 지속 추진 중” “과반노조가 될 정도의 영향력이라서 임금인상률 여파가 우려되는 상황” 등을 보고하는 내용이 담겼다. 지부는 사업지원TF의 지시에 따라 바이오로직스 측이 대응하는 상황이라고 해석했다.
사업지원TF는 2017년 그룹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 해체 후 신설된 조직이다. 애초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전자 계열사를 지원하기 위해 임시 조직으로 만들어졌는데, 비전자 계열인 바이오로직스 인사에 관여한 정황이 드러난 것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7일 사업지원TF를 ‘사업지원실’로 격상해 상설 조직화하고 박학규 사장을 초대 실장으로 위촉했다.
초기업노조 삼성바이오로직스지부 관계자는 “(사업지원TF가) 본인들은 아니라고 하지만 사실상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면서 각 사의 재량인 인사 등을 통제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지부는 정신건강 회복을 돕는 바이오로직스 사내 마음건강센터를 다녀온 직원들에 대한 상담 기록 파일이 ‘징계 폴더’ 안에 있었다는 점도 문제 삼았다. 지부는 “기록을 남겨 퇴사시키기 위한 구조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노출된 자료에는 노조 집행부 관리 자료, 바이오로직스 각 팀의 고과 비율 표 등도 있었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임직원 여러분들의 개인정보가 열람 권한이 없는 일부 직원들에게 노출된 것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회사가 특정 직원에게 불이익을 주려 한다고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회사는 일부 직원들이 이를 외부에 공유하는 행위에 회사의 이익, 직원들의 권리를 저해하고 법령 위반 소지가 있다고 판단해 별도로 (법률) 검토 중”이라고 했다.
삼성전자는 별도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종합] 김건희 특검 "수사팀 재편 점진적 진행"…11일 김 여사 모친·오빠 재조사](https://img.newspim.com/news/2025/10/10/2510101638034320_w.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