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100대 궁금증] 멀미 막는 똑똑한 방법

차에 오르자마자 밀려오는 울렁거림과 어지럼증으로 힘들어하는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멀미는 몸속 감각기관 간의 정보 충돌 때문에 생깁니다. 눈으로 보는 외부 풍경과 귀·근육이 느끼는 움직임이 서로 어긋나면서 뇌가 혼란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특히 귀 안쪽의 전정기관(평형감각 기관)이 멀미와 밀접합니다. 차량의 급출발이나 급정지처럼 예측하지 못한 움직임이 평형기관을 과도하게 자극할 때 어지럼증이 심해집니다. 전정기관은 귀 안쪽 달팽이관 옆에 위치한 작은 구조물로, 몸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합니다. 가속도나 회전을 느끼는 기능을 담당해 교통수단 특유의 흔들림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벨트·단추는 느슨하게
멀미를 막으려면 감각기관 간의 정보 불일치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는 자리를 고르면 도움됩니다. 기차에서는 순방향 좌석에 앉으면 됩니다. 배는 선체 중앙 쪽 좌석이 가장 덜 흔들리며 비행기는 날개 근처 좌석이 흔들림이 적습니다. 버스는 앞쪽 창가 좌석이 안정적입니다. 창가 자리에서 먼 경치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벨트나 단추처럼 몸을 압박하는 것은 느슨하게 하고, 심호흡하며 긴장을 풀어보세요.
차 안에서 책을 읽거나 스마트폰을 보면 시야를 고정해 멀미를 악화시킵니다. 눈을 감거나 먼 산을 바라보며 시각과 몸의 감각을 일치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탑승 전 과식·음주는 피해야 합니다. 위장에 부담을 주어 멀미를 악화시키기 쉽습니다. 탑승 중 물 한 모금씩을 자주 마시는 것도 증상 완화에 도움됩니다.
멀미약은 사용법을 잘 지켜야 합니다. 운전자는 복용 금지입니다. 졸음과 방향 감각 저하 위험이 있습니다. 승차 30분~1시간 전에 미리 복용하고, 추가 복용은 4시간 이상 간격을 둬야 합니다.
패치형은 귀 뒤에 한쪽만 부착
기존 복용 약물(감기약, 진통제 등)이 있다면 멀미약과 함께 사용하지 마세요. 츄어블정(씹어 먹는 약)이나 껌은 멀미 증상이 시작될 때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패치형은 귀 뒤에 한쪽만 부착하세요. 양쪽 모두 붙이면 과량 흡수로 부작용이 생길 위험이 있습니다. 이동 종료 후 즉시 제거하고,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고령자·간 질환자·녹내장 환자 등은 사용을 피하거나 전문가 상담 후 사용해야 합니다.
멀미약의 주성분 중 하나인 스코폴라민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해 멀미를 막지만 부작용으로 졸음, 입 마름, 시야 흐림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도 알아두세요. 차를 타지 않았는데도 자주 어지럽거나 울렁거리면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뇌혈관 질환 같은 위험 인자가 있는 경우 초기 뇌졸중의 신호로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귀 안에 염증이 생긴 경우(전정신경염 등)에도 멀미와 비슷한 어지럼증이 생깁니다.
※ 한눈에 보는 멀미 예방법
차 탈 때: 진행 방향으로 앉기, 창밖 보기
탑승 전: 과식·음주 삼가기, 충분한 수면
멀미약: 운전자는 복용 금지, 복용 시간 지키기
패치 사용: 귀 뒤 한쪽 부착, 이동 끝나면 제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