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img.sedaily.com/2025/02/10/2GOWZ809AK_1.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추진하는 연방정부 구조조정에서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이 타깃으로 떠올랐다. 해당 기관은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시절 설립됐다.
10일 AP통신에 따르면 CFPB 국장 대행이 된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국장은 8일(현지 시간) 밤 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기존 진행하던 조사를 중단하고 신규 조사를 금하는 등 사실상 모든 업무를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워싱턴DC에 있는 CFPB 본부 건물이 10~14일 폐쇄된다는 공지와 함께 다른 지침이 있을 때까지 원격 근무를 하라는 지시도 떨어졌다. 폐쇄 이유는 언급되지 않았다.
보트 국장 대행은 같은 날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CFPB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7억 1160만 달러(약 1조 328억 원)가 과도하다며 연방준비제도로부터 다음 지원금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도 밝혔다. CFPB는 정치적 압력을 차단하기 위해 연준이 자금을 지원하게 돼 있다고 AP는 설명했다. CFPB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오바마 당시 대통령이 소비자들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금융 상품 규제 등을 목적으로 설립을 추진했다. 이후 2010년 7월 의회를 통과한 광범위한 금융개혁법에 따라 설립됐으며 문을 닫으려면 의회의 결정을 거쳐야 한다.
CFPB는 보수 진영이 눈엣가시로 여기는 기관이다. 엘리자베스 워런 민주당 상원의원의 아이디어로 설립됐으며 이후 대형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CFPB 결정에 반발해 줄지어 소송을 내기도 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전 행정부 시절 CFPB가 소비자들에게 돌려준 금액은 60억 달러(약 8조 7000억 원)가 넘고 금융기관 등에 부과한 벌금은 32억 달러(약 4조 6000억 원)에 달한다.
CFPB에 대한 업무중단 지시는 국제개발처(USAID) 통폐합에 이은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정부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구조조정을 담당하는 정부효율부(DOGE) 수장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는 X에 "CFPB에 안식을(RIP)"이라는 글을 쓰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