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에서 판매되는 에너지 스틱 제품들의 영양 성분이 제품별로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제품은 포도당 등 단순당 중심으로, 또 다른 제품은 아미노산 비중을 높여 설계돼 운동 목적에 따라 선택 기준을 달리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한국소비자원은 18일 에너지 스틱 13개 제품을 대상으로 한 품질·안전성 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대상 13개 중 12개 제품은 포도당·과당·설탕·유당·맥아당 등 5종의 당류를 주된 에너지원으로 쓰고 있었으며, 1포(포)당 당류 함량은 5g에서 12g까지로 제품 간 최대 2.4배 차이를 보였다.
당류 가운데 혈당 상승 속도가 낮은 ‘신유형 당’ 팔라티노스의 함량도 제품마다 큰 편차가 있었다. 9개 제품이 0.3~3.0g을 함유하고 있었는데, 씨드마케팅 ‘엔업 파워젤’이 3.0g으로 가장 많았고 코오롱제약 ‘퍼펙트 파워젤’은 0.3g으로 가장 적었다.
아미노산 구성비는 격차가 더욱 뚜렷했다. 아미노산 18종을 포함한 10개 제품의 1포 기준 함량은 220~2828㎎으로 약 13배 차이를 기록했다. 오아 ‘삼대오백 카르디오 에너지젤’이 2828㎎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 3개 제품은 아미노산을 넣지 않았거나 20㎎ 이하에 그쳤다. 대상웰라이프 ‘뉴케어 스포식스 에너지젤’은 아예 아미노산을 포함하지 않았고, 요헤미티 ‘에너지젤’은 0.9㎎, 프로게이너 ‘파워젤’은 16.2㎎ 수준이었다.
13개 제품 중 일동후디스 ‘하이뮨 아미노포텐’은 유일하게 아미노산을 주성분으로 설계됐다. 특히 피로 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BCAA(분지사슬 아미노산)를 1476㎎ 함유해 조사 대상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소비자원은 “제품별로 당류·아미노산 구성비 차이가 큰 만큼 운동 목적에 맞는 선택이 필요하다”며 “유산소 운동에는 당류·팔라티노스 기반 제품, 근력 운동에는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제품이 보다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브이솔 ‘바이탈솔루션 아르지닌 부스트’, 베가베리 ‘엔듀로젤’, 익스트림 ‘에너지젤’ 등 3개 제품은 팔라티노스 함유를 강조했지만 실제 완제품 기준 함량이 복합원재료 기준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