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AI 홈'으로 미래 일상 실현
LG, 'AI 오케스트라'로 생활 맞춤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글로벌 스마트홈 시장의 주도권을 놓고 다시 맞붙는다. 두 회사는 오는 5일(현지시각)부터 9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5'에서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홈 전략을 공개한다.
AI 전략이 향후 10년 동안 글로벌 가전 시장 주도권을 가를 핵심 요소로 평가되는 만큼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스마트홈 시장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IFA 2025'는 독일 베를린에서 '미래를 상상하다(Imagine the future)'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삼성전자는 'AI 홈, 미래 일상을 현실로'를 주제로 전시관 전체를 AI 홈 콘셉트로 구성한다.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을 적용한 마이크로 RGB TV, 유럽 맞춤형 비스포크 AI 가전, 갤럭시 AI 생태계와 연결되는 모바일 신제품 등을 선보인다.
해당 제품들은 스마트싱스와 연동돼 생활 전반에서 AI가 제공할 수 있는 편의성과 안전성을 구현한다. 현장에서는 가전이 상황을 스스로 인식해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나리오가 체험형 전시로 마련될 전망이다.
LG전자는 'LG AI 가전의 오케스트라'를 주제로, 개별 기기 연결을 넘어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조화를 강조한다.
중심에는 AI홈 허브 '씽큐 온'이 있다. 이 기기를 통해 집 안팎의 가전과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통합 연결하고, 생활 패턴 분석과 학습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들어 "나 이제 잘래"라는 말에 조명·커튼·에어컨·공기청정기를 동시에 조정하는 식이다.

두 회사가 AI를 전면에 내세운 배경에는 급성장하는 글로벌 가전 시장이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유럽 가전 시장은 올해 약 150조원에서 2030년까지 180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스마트홈의 비중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는 이번 전시를 단순 신제품 경쟁이 아닌 스마트홈 생태계 주도권 싸움의 신호탄으로 해석한다.
중국 기업들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시장을 넓히고 있고, 일본 기업들은 프리미엄 기술로 차별화를 꾀한다. 한국 기업들 역시 기술력과 브랜드 신뢰도를 무기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플랫폼 선점이 중요해진다는 분석이다. 스마트홈은 한 번 특정 생태계에 진입하면 다른 브랜드로 이동하기 어려운 '락인(묶어두기) 효과'가 커 장기 점유율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가전업계 한 관계자는 "스마트폰 시장이 애플과 삼성을 중심으로 굳어진 것처럼 가전 시장도 특정 플랫폼으로 고착화될 수 있다"며 "IFA에서 공개되는 전략은 향후 10년을 좌우할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중국 기업들도 AI를 전시 핵심으로 내세운 만큼 한국 기업들이 어떻게 차별화할지 주목된다. 업계에서는 이번 IFA가 단순 전시회가 아니라 글로벌 스마트홈 판도를 가를 무대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가전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삼성과 LG가 각자의 강점을 살리면서 세계 소비자에게 설득력 있게 다가설 수 있을지가 향후 시장 지위를 결정할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a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