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잊혔다는 말러의 고백

2025-11-06

위대한 작곡가 말러(사진)는 이방인의 예리한 시선으로 황홀경과 고통이 공존하는 세상의 모순을 드러내고자 했다. 때론 추하고, 때론 조화로운 미에서 멀어진다. 그게 더 진실하게 느껴졌기 때문이었다. 사실 그것은 그의 현실이기도 했다. 그는 보헤미안·오스트리아인·유대인, 비주류 세 가지가 겹친 ‘삼중의 이방인’이었다. 세계 최고의 지휘자가 되었지만, 세상이 그에게 내보이는 적개심은 가실 줄 몰랐다.

세기가 바뀌고 마흔 즈음이 되었을 때, 말러는 사랑에 빠졌다. 그러나 사랑해도 외로웠다. 인간의 실존적 한계였다. 만일 지상에서의 불완전한 사랑이 영원한 천상의 삶에 대한 예표라면, 사랑과 죽음이 꼭 서로 모순되는 일은 아니다. 사랑과 죽음, 순간과 영원이 그의 마음 중심부에 자리 잡기 시작했다. 정체성이 흔들리는 불안은 여전했고, 그는 이제 더 깊은 사변의 세계로 침잠해 들어갔다. 그리고 그때쯤 한 편의 노래가 탄생했다.

‘나는 세상에서 잊혔네/ 더불어 덧없이 오랜 시간 쇠했네/ 세상은 오래도록 내 소식 못 들어/ 그저 내가 죽었겠거니 하겠네// 그것도 내겐 별 상관없는 일./ 죽었다 여기든지 아니라 하든지/ 나 역시 반박할 아무 것 없으니/ 세상 보기에 나는 죽은 것이나 같네// 요지경 세상에게는 죽은 자요/ 고요한 땅에서 쉬고 있으니/ 나의 하늘 그 속에서 나 홀로 살리,/ 나의 사랑, 내 노래 속에서!’

뤼케르트의 시에 붙인 이 노래(‘뤼케르트에 의한 5개의 가곡’)는 말러의 가장 진실된 고백이다. 거의 도교적이라 할 만큼 관조적인 분위기, 흡사 무엇을 이루려 하거나 커지려는 마음 없이 고요히 세상을 뜨려는 은자의 음성과도 같다. 한 사람의 외로움이 예술작품으로 바뀌어 시간 너머로 공명하기 시작하고 많은 사람의 심금을 울린다. 그것은 지금 여기의 외로움에도 귀를 열라는 호소다. 세상에 잊힌 자들에게 다시 손을 내밀라는 요청이다.

나성인 음악평론가·풍월당 이사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