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출범 후 지금까지 대통령실 참모들을 만나면 기자들이 빼놓지 않고 하는 질문들이 있다. ‘연설비서관 자리가 채워졌나’ ‘성장경제비서관은 왜 공석인가’ ‘언제쯤 조직이 완성되나’ 등이다.
그때마다 돌아오는 답변은 천차만별이다. “적임자를 찾고 있다”는 말부터 “곧 임명하지 않겠냐”는 낙관적인 대답도 들었다. 심지어 “공석으로 두다가 직책을 통폐합 할 것”이라는 추측을 내놓는 사람도 있다.
모두가 통일된 답을 하지 못하는 것은 그만큼 ‘인사’가 얼마나 어렵고 까다로운 일인지 실감하게 한다.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이 지나서야 비로소 완성된 1기 내각을 봐도 그렇다. ‘현역 불패’ 신화도 깨졌고 국민들의 반발에 못 이겨 후보자를 지명 철회하는 상황도 발생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떠올리면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대통령실 내부 인선도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아니다. 대통령실이 ‘인사수석비서관’을 신설한 점 역시 타당한 결정이라는 평가가 많다.
다만 인사수석을 신설함으로써 대통령실 직제 개편은 언제 마무리될지 요원해진 상태다. 대통령 취임 당시 이미 한 차례 개편한 조직을 3개월이 지나 다시 바꾸는 셈이다.
변동의 폭이 작다고 해도 대통령실 조직도는 구성원들의 막중한 역할을 고려하면 결코 가벼운 사안이 아니다. 대통령이 취임 후 줄곧 강조해 온 성장과 규제 혁신, 경청과 통합을 추구하려면 이 같은 비전을 실천할 인물이 적재적소에 배치돼야 한다. 그래야 그의 업무를 지원하며 함께 국가 전략을 이끌고 갈 직원들도 진용을 갖출 수 있다. 조직 개편을 신속히 마무리해 투명하게 국민들에게 공개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인사와 관련해 시행착오를 겪을 때마다 대통령실은 “인수위 없이 출범한 정부”라는 점을 강조했다. 앞선 정권에 비해 국정을 준비할 시간도, 자원도 모두 부족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취임 100일이 지난 지금도 이러한 주장이 통할지는 미지수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이 이번 정권에서만 예외가 될 수는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