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친화적 농정 패러다임 전환을”

2024-12-17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농촌 여건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환경친화적인 정책과 첨단기술을 활용해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과 한국농어촌공사가 16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에서 개최한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농촌 발전을 위한 심포지엄’에서 이러한 논의가 진행됐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진 주제는 환경이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우리나라 농업은 선진국에 비해 화학적 농자재를 과도하게 사용해 농업용수·토지 오염이 심각하다”고 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1㏊(3000평)당 질소·인산 수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대비 3∼4배 높은 수준이며 농약 사용량은 14배 더 많다.

특히 현재 물과 농지 관리를 담당하는 농어촌공사가 환경친화적인 농정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임 교수는 “환경 부하를 줄이기 위해 미국의 자연자원보전국(NRCS)처럼 농어촌공사가 환경·생태를 통합적으로 보전하는 농업자원 관리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농무부(USDA) 산하에 있는 자연자원보전국은 2500여곳의 지방 사무소를 두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환경보전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임 교수는 “농어촌공사가 주기적으로 전국 단위 자연자원 조사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익형 환경보전사업을 시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대식 충남대학교 지역환경토목학과 교수도 공감을 표시하며 “농어촌공사가 그동안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을 진행하며 쌓인 데이터를 체계화하면 자연자원 관리시스템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농어촌공사도 환경친화적인 농업·농촌을 구현하기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김경한 농어촌공사 기획조정실장은 “농어촌공사는 사람·자연·기술이 함께하는 농어촌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간척지에 재생에너지 단지를 세우고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한 저수지 관리 체계를 만들겠다”며 “친환경농업을 확산하기 위해 빅데이터에 기반한 저탄소농업 인프라도 구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첨단기술을 육성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임 교수는 “정부에서 농업분야 첨단기술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실천 전략이 아직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심포지엄에서는 스마트팜·그린바이오산업 육성 등 정책 기조를 뒷받침할 세부 방안으로 ▲그린바이오·푸드테크 인증제 시행 ▲스마트팜 스타트업(새싹기업)에 농촌 공간 및 세제 혜택 제공 등이 제시됐다.

이재효 기자 hyo@nongmin.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